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이슈 국내 백신 접종

"국민이 실험대상이냐, AZ 백신 못 믿겠다"…'대통령 1호 접종' 논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지영 기자]
머니투데이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전 경북 안동시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을 방문해 코로나19 백신을 살펴보고 있다./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코로나19(COVID-19) 백신 1호 접종을 두고 정치권에서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22일 정부와 보건당국에 따르면 오는 26일에는 국내에서 생산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으로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서 첫 접종이 이뤄질 예정이다. 같은 날 코백스 퍼실리티로부터 화이자 백신 11만7000회분이 도착해 27일부터는 코로나19 환자 치료 의료인들에게 접종이 시작된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백신 접종 불안감 해소를 위해 가장 먼저 백신 접종을 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솔선수범이 필요한 상황이 된다면 저는 그것도 피하지 않겠다"고 밝혔는데 백신 접종을 앞두고 여야는 문 대통령의 지난달 발언을 두고 설전이 오가고 있다.


유승민 "대통령의 1번 접종"…정청래 "국가원수가 실험대상?→나와 먼저 맞자"

논란은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9일 페이스북에 '아스트라제네카, 대통령이 먼저 맞아야 불신 없앨 수 있다'는 제목의 글을 올리면서 시작됐다.

유 전 의원은 "(문 대통령이) 그 말을 지킬 때가 왔다. 아스트라제네카 1번 접종을 대통령부터 하시라"며 "대통령의 1번 접종으로 그동안 청와대발, 더불어민주당발 가짜뉴스로 누적된 국민의 불신을 덜어주면 좋겠다. 그래야만 국민이 믿고 접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정청래 민주당 의원은 지난 20일 페이스북에 "국가원수가 실험대상인가"라며 "이는 국가원수에 대한 조롱이자 모독"이라고 반박했다. 또 "국가원수는 건강과 일정이 국가기밀이고 보안 사항이다. 초딩 얼라(초등학교 아이)보다 못한 헛소리로 칭얼대지 마시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22일 페이스북에는 유 전 의원을 향해 "그렇게 국민건강이 걱정된다면 괜히 대통령에게 시비걸지 말고 나와 함께 코로나19 백신을 먼저 맞자"고 제안했다.


국민의힘 "아스트라제네카 신뢰 낮아" 비난



논란은 다시 아스트라케네카 백신의 신뢰도로 번지고 있다.

국민의힘 전략실장인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난 21일 "백신이 안전하다면 대통령의 1호 접종은 오히려 청와대가 나서 추진할 일인데도 대통령이 실험 대상이 아니라며 발끈하는 정 의원의 헛소리야말로 스스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위험성을 자인하는 꼴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도 22일 페이스북에 "우리나라 상반기 접종 물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전 세계적으로 효용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국민들이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하는 것은 대통령과 방역 당국 책임자들의 당연한 책무"라며 "정 의원과 민주당은 더 이상 백신에 대한 불안감을 조장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과 이스라엘 총리,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백신 접종 사례를 들어 "이 분들이 맞은 것은 다 아스트라제네카가 아니다"라며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한 신뢰가 굉장히 낮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대통령이 실험 대상이냐. 국가원수 모독, 조롱"이라는 정 의원의 발언을 두고 "그러면 국민은 실험 대상이냐? 아스트라제네카를 막 맞춰도 되냐? 말도 안 되는 얘기"라고 비판했다.

이에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만약에 대통령께서 먼저 백신을 맞겠다고 했으면 의료진, 방역 종사자들이 더 위험하고 시급한데 대통령 몸부터 챙기느냐 비난을 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유 전 의원을 향해서는 "대선 후보까지 했다라는 분이 최소한의 격에 맞는 말씀을 하셔야 되고 이런 백신 접종의 불신을 조장하는 발언을 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다"고 비판했다.

김지영 기자 kjyou@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