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대 화학과 이경구 교수 연구팀, 기초과학연구원 공동연구
군산대학교는 화학과 이경구 교수팀이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리튬금속 이차전지의 수명 및 출력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리튬금속전지는 리튬이온전지의 작은 저장용량과 짧은 수명 등 한계를 극복한 대안으로 주목받아 왔지만, 충·방전이 반복되면 '수지상결정(dendrite)'이 생겨 역시 수명이 단축되고 화재·폭발에 취약하다는 약점을 지녔다.
리튬금속에 보호막을 도입하고 이때 고농도 전해질을 사용하면 수지상결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고농도 전해질은 출력성능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즉 이는 리튬금속 이차전지를 활용한 전기차에 적용하기엔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었다.
앞서 노트북과 휴대전화에 널리 활용되는 기존 리튬이온전지는 저장용량과 수명 한계로 전기차 이차전지로 쓰기에 한계가 있었다. 리튬이온전지의 흑연보다 저장용량이 10배 이상 큰 리튬금속을 사용하는 리튬금속전지가 개발돼 전기차용 이차전지 대안으로 주목받아 왔다.
이 연구 결과는 교육부 개인연구사업(지역대학우수과학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기초연구실) 지원으로 수행됐다. 에너지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국제 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의 8일자 표지 논문으로 선정, 게재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임민철 기자 imc@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