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서울·부산시장 보궐 선거

서울시장 후보들 부동산공약 뜨겁지만…"1년짜리가 어떻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권자들 "제1 선택 기준은 부동산"…사활 건 정책 총력전

연합뉴스

남산에서 바라 본 서울 도심.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종현 기자=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부동산 대전'으로 흐르고 있다. 민심은 부동산 정책에 꽂혀있다.

한국리서치가 한국일보 의뢰로 지난 4∼6일 실시한 서울시장 보궐선거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가장 관심이 가는 이슈'로 응답자의 49.7%가 '부동산·주거 정책'을 꼽았다. 리얼미터가 YTN·TBS의 의뢰로 실시한 비슷한 여론조사에서는 서울시의 중점 현안으로 40%가 '부동산시장 안정'을 택했다. SBS가 설 연휴를 맞아 입소스에 맡긴 여론조사에서는 서울시장 후보의 선택 기준으로 응답자의 28.5%가 부동산 정책을 지목했다.

이쯤 되면 출사표를 던진 각 정당 후보들이 부동산 정책에 사활을 걸지 않을 수 없다. 유권자를 끌기 위해 일찍이 보지 못했던 정책들이 쏟아져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 사활 건 부동산 정책 총력전

여야 가릴 것 없이 후보들은 부동산 공급 방안을 쏟아내고 있다. 규제 완화에 대해 여당 후보들은 정부의 정책 기조를 흔들지 않으려고 신경을 쓰는 모습이지만 야권 후보들은 현 정부의 부동산 규제 철폐를 내걸었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 경선 후보는 '21분 콤팩트 도시 대전환'과 5년 내 공공주택 30만 가구 공급을 간판 정책으로 내걸었다. 서울을 21개 다핵(인구 50만명 수준)으로 분산해 21분 이내 교통 거리에서 직장·교육·쇼핑·여가 등 모든 생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양극화와 환경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강북에 있는 30년 이상 된 낡은 공공임대주택을 재개발해 평당 1천만원의 반값 아파트로 분양하겠다고도 했다.

같은 당 우상호 경선 후보는 한강 변의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 등을 덮어 그 위에 조망권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아파트를 짓고 여기에 역세권 고밀개발, 공공 재개발 등을 더해 모두 16만 가구의 공공주택을 건설하겠다고 했다. 이를 10년 임대주택, 20년 전세 주택, 30년 자가주택 등으로 나눠 공급한다는 것이다. 우 후보는 25평 기준 5억∼6억원대의 저렴한 가격으로 서민들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도록 하겠다고 했다.

야권 예비 후보들도 의욕적이다. 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은 '독한 결심과 섬세한 정책으로 서울을 재건축하겠다'면서 분양가상한제 폐지, 공시가격 인상 저지, 용적률 상한 조정, 용도지역 변경 적극 검토, 층고 제한 완화 등을 내걸었다. 키워드는 현 정부가 동원한 각종 부동산 규제의 해제와 재개발·재건축 활성화다. 10년간 70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공약도 내걸었다.

국민의힘 오세훈 전 시장은 제2종 일반주거지역의 7층 이하 규제를 바로잡겠다고 했다. 여기에 20∼30대에게는 셰어하우스, 30∼50대에게는 장기 무주택자 청약 특별공급, 50∼60대에게는 공동생활이 가능한 클러스터형 주택 공급 등의 맞춤 대책을 제시했다. 총 공급 규모는 5년간 36만 가구다. 또 강남·북 균형발전 프로젝트로 비강남권 지하철과 국철 구간 일부를 지하화해 지역 거점으로 활용하겠다고 했다.

국민의힘 오신환 전 의원은 무주택자와 청년들에게 환매조건부 반반 아파트 공급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시세의 절반에 분양한 뒤 되팔 때 매매 차익을 절반까지 보장하겠다는 것이다. 용산 캠프킴, 태릉 골프장, 상암LH, 마곡SH 부지에 이런 형태의 아파트를 건설하겠다는 복안이다. 조은희 서초구청장은 부동산 햇볕정책을 내걸고 재개발로 35만 가구, 재건축으로 20만 가구 등 모두 65만 가구를 짓겠다고 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민간주도로 청년임대주택 10만 가구, 3040과 5060 세대를 위해 40만 가구 등 총 74만6천 가구를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통해 향후 5년 이내에 건설하기로 했다. 무주택 실소유자의 내 집 마련을 돕기 위해 규제지역이라도 총부채상환비율(DTI),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대출 규제를 대폭 풀고, 청년층이 내 집 마련을 앞당길 수 있도록 세대별 쿼터제도를 도입하는 등 청약제도도 개선하기로 했다.

도시전문가인 열린우리당 김진애 후보는 부동산 거품에 기름을 붓는 게 아니라 건강한 부동산 생태계를 살려내야 한다고 강조한다. 역세권에 민간·공공임대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집이 어우러진 '미드타운'을 조성해 시민들의 직주(직장과 집) 근접이 가능하게 하겠다는 포부를 내놨다.

시대전환의 조정훈 의원은 강남 3구를 포함한 주거 선호지역의 주택을 적극 매입한 뒤 서울시민에게 시중보다 저렴하게 내놓겠다고 했다. 시중의 과다 유동자금을 공사채 발행으로 흡수하는 동시에 서울시가 활용할 수 있는 주택 물량 확보 방법이라는 것이다. 무소속의 금태섭 전 의원은 무리한 신규 공급 대신 서울형 공공 재개발로 25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공약했다.

◇ 정책 실현 가능성엔 "1년짜리 시장이 어떻게…"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후보가 과도한 규제의 개선이나 공급 확대 아이디어를 내놓은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부도 2·4 부동산대책을 통해 수요 억제에서 대량 공급으로 정책 방향을 틀었듯 서울의 집값·전셋값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충분한 공급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개발 예산, 택지 확보 등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이 없어 두루뭉술하다거나, 과다한 물량은 현실성이 떨어져 신뢰를 주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지금 정부가 영끌 정책으로 제시한 서울 공급 물량이 32만 가구이며, 이것도 대부분 실제 공급이 아니라 5년 안에 부지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라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후보들의 정책 아이디어는 상당히 의욕적이지만 서울시의 권한으로 하기 어려운 공약도 적지 않은데다 잔여임기 1년여짜리 시장이 하기에는 벅차 보인다는 의견도 있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후보들의 대책은 1년짜리가 아니라 대부분 5년짜리이고, 완공대책이 아니라 계획 대책이어서 좀 더 다듬어야 할 부분이 많지만 각자 다양한 대책으로 차별화를 시도하려 한 노력은 보인다"고 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후보들의 공급 계획을 살펴보면 나름으로 고심의 흔적은 보이지만 언제, 어디에, 어느 정도의 물량을 지을 수 있는 것인지 확실하지 않아 구체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후보들의 공약을 보면 도로나 철도의 지하화나 복개, 도심 집중 개발 공약이 많은 데 이는 엄청난 공사비가 필요하다"면서 "이렇게 조성한 부지로 저렴한 주택을 공급한다고 하는데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에 대한 세밀한 방안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kimj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