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현대·기아, 자율주행 애플카 생산 협상 마무리 단계"(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잠정적으로 2024년 생산 돌입…협상 결렬될 가능성도 있어"

애플, 모빌리티 시장 접근성 확보…현대·기아, 자율주행 개발 가속

연합뉴스

"현대·기아, 애플카 생산 협상 마무리 단계"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 = 현대·기아가 '애플카'로 불리는 애플 브랜드의 자율주행 전기차를 생산하기 위한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경제매체 CNBC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BC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미국 조지아주(州) 웨스트포인트의 기아 조립공장에서 애플 브랜드를 단 자율주행 전기차를 제조하기 위한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근접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들은 애플 내부 팀이 개발 중인 애플카가 잠정적으로 2024년부터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면서 다만 최종 출시 시점은 더 늦춰질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소식통들은 아직 애플과 현대·기아 사이에 최종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으며 애플이 다른 완성차 업체와 손을 잡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애플의 자동차 개발 전략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현대가 그들(애플)이 협상을 타결할 유일한 완성차 업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애플이나 현대·기아는 CNBC에 논평을 거부했다.

CNBC는 또 이번 협상에 밝은 사람들을 인용해 양사 모두 애플카 개발 과정에서 상대방과 협력하는 데서 독특한 장점이 있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애플에는 자동차 제조가 10조달러(약 1경1천137조원) 규모로 평가되는 글로벌 자동차·모빌리티 시장을 이용할 잠재력을 열어주게 된다.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스마트폰의 연간 시장 규모는 5천억달러(약 557조원)다. 애플은 이 시장의 약 3분의 1을 갖고 있다. 모빌리티 시장은 10조달러다. 따라서 애플은 단지 이 시장에서 2% 점유율만 확보하면 아이폰 사업과 똑같은 규모를 확보한다"고 지적했다.

현대·기아와의 협력에 애플이 관심을 두는 이유를 잘 아는 소식통들은 애플이 자신들에 차에 탑재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제하도록 허용해줄 인정받는 완성차 업체와 함께 북미에서 애플카를 만들기를 원한다고 전했다.

이는 다시 말해 애플이 '애플카'를 만들고 싶은 것이지, 애플의 소프트웨어를 장착한 기아 모델을 생산하고 싶은 게 아니라고 CNBC는 풀이했다.

또 현대·기아에서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애플과의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CNBC는 현대·기아의 전략을 잘 아는 한 소식통을 인용해 "정 회장이 모빌리티가 회사의 미래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전했다.

애플카는 전면 자율주행차가 될 것이기 때문에 이런 전략과 부합한다.

현대·기아의 경영진은 애플과 협업을 통해 자체 자율주행·전기차 개발 구상을 가속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실제 현대차는 현재 미국 자율주행 기술 업체 앱티브와 조인트벤처를 꾸려 로보택시를 포함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 중이다. 다만 애플과 애플카 제조 계약을 체결하더라도 이 조인트벤처에 변화가 생길 조짐은 없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CNBC는 애플카가 어떤 모습이 될지 불투명하다면서도 한 소식통의 입을 빌려 "첫 애플카는 운전사를 고려해 설계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이는 운전자 없이 작동하는 자율주행 전기차가 될 것이며 라스트 마일에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라스트 마일이란 '마지막 1마일 내외의 최종 구간'을 뜻하는 말로, 물류·유통업계에서는 '최종 소비자에게 제품을 배송하는 마지막 단계'를 가리킨다.

CNBC는 이 경우 최소한 애플카의 초기 구상은 음식 배달이나 로보택시를 이용한 회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치는 애플을 이미 자율주행 기능을 차량에 탑재해 내놓고 있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와 정면으로 경쟁 관계에 놓이게 만든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sisyph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