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안보리, '미얀마 쿠데타'에 성명 못내…"중·러 미온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군부 쿠데타 선언 속 의사당 봉쇄한 미얀마군
(네피도 AFP=연합뉴스)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선언한 1일(현지시간) 군이 수도 네피도의 국회 의사당으로 가는 길목에 바리케이드를 쌓고 장갑차와 트럭 앞에서 경계를 서고 있다. 미얀마 실권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 등 정부 고위 인사들을 구금한 군부는 이날 새벽 TV를 통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서울=연합뉴스) 강훈상 기자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2일(현지시간) 미얀마에서 발생한 군부의 쿠데타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회의를 열었지만 통일된 의견을 결정하지 못했다.

AP통신은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안보리 15개 회원국이 모여 성명 초안을 작성했으나 상임 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본국에 이를 보내 검토를 거쳐야 한다고 주장해 최종 확정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이 성명 초안에는 미얀마의 민주주의 회복을 촉구하고 군부를 규탄하는 동시에 구금된 정치 지도자 전원을 즉각 석방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미얀마 쿠데타에 제재를 포함한 강경 대응을 모색하는 미국과 달리 중국은 아웅산 수치 국가 고문을 위시한 집권 세력뿐 아니라 군부와도 관계가 밀접한 편이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일 "미얀마의 헌법과 법적 틀 안에서 각 세력의 이견이 적절히 다뤄지고 정치·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길 바란다"라며 "국제 사회의 대응이 이에 기여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본국의 쿠데타에 직면한 유엔 미얀마 특사의 요청으로 소집됐다.

미얀마 특사는 군부의 정권 전복 기도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안보리가 미얀마의 민주주의 회복을 지지한다는 명확한 신호를 한목소리로 보내야 한다고 요청했다.

유엔 안보리 순회 의장 바버라 우드워드 영국 대표는 이날 화상으로 진행된 회의 뒤 "안보리 회원국들이 미얀마 군부의 행동에 국제적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안보리에서 계속 논의할 것"이라며 "(미얀마에 대해) 한목소리를 낼 수 있기 희망한다"라고 덧붙였다.

hskan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