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도시 피해 보는 기피시설 대책 마련 촉구
“개발 편익은 서울시가, 고통은 고양시가 떠안아”
"서울시로 인한 피해 해결 책무 있다"
이재준 경기 고양시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양=뉴시스]송주현 기자 = “언제까지 서울시민의 쾌적한 주거를 위해 고양시민이 희생양이 돼야 하는가?”
이재준 경기 고양시장은 31일 서울시의 독단적인 도시계획을 지적하며 서울시장 후보들에게 상생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시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개발의 편익은 서울시민이 취하고 고통은 인근 경기도 시·군 주민이 떠안도록 서울시가 독단적인 도시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최근 서울시장 선거 후보자들이 적게는 16만에서 많게는 120만 가구까지 주택공급 계획을 발표하고 있지만 정작 주택공급에 필수적인 기피시설 대책이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서울시는 그동안 많은 기피시설을 경기도에 설치했다.
특히 고양시의 경우 벽제화장장·서울시립묘지 등의 장사시설과 난지물재생센터·음식물폐기물 처리시설까지 경기도 31개 시·군 중 서울시의 기피시설이 가장 많이 위치해 있어 피해가 크다.
이 시장은 “서울시민만을 위한 고급화된 도시를 만들고자 하는 서울시의 부동산 정책에 따라, 기피시설로 인한 고양시민의 피해는 가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고양시에 위치한 난지물재생센터는 마포·서대문·용산·종로·중구 지역 하수를 처리하는데, 주택 20만호가 공급될 경우 인구 50만 명이 늘어나고 하수량은 무려 18만 t이 늘어나게 된다.
이 시장은 “고양시는 서울과 인접한 땅 4천만 평이 그린벨트로 묶여 고양시민들의 사유재산권을 침해당했고, 서울 집값 안정화를 위해 베드타운이 됐다”며 예비 후보들에게 3가지 사항을 함께 고려할 것을 촉구했다.
우선 서울시립승화원 교통대책 마련과 묘지 신설 제한이다.
현재 서울시립묘지 5곳 중 단 한 곳만 서울시에 있으며 나머지 4곳은 경기도에 있다. 이 중 3곳이 고양과 파주에 있다.
1970년 고양시에 설치된 서울시립승화원에는 총 23기의 화장로가 있는데, 이는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추모공원 화장로 11기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숫자다.
경기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서울시 소유의 난지물재생센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로 인해 서울시립승화원에서는 두 배나 많은 화장 수요를 감당해 왔다.
때문에 수시로 몰려드는 방문객들로 인근 도로는 몸살을 앓고 있다.
승화원 진출입 차량과 통일로IC 진출입 차량, 그리고 통일로 본선을 오가는 차량이 한데 뒤엉켜 인근 주민들이 오히려 도로를 이용하기 힘든 ‘주객전도’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주민들은 “차를 타고 어딜 갈 수조차 없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서울시는 교통대책조차 마련하지 않은 채 손을 놓고 있는 상태다.
두 번째는 심각한 악취가 발생하는 난지물재생센터의 시설을 조속한 현대화다.
고양시에 위치한 난지물재생센터는 자유로를 잠깐 오가는 차 안에서도 분뇨 냄새가 날 정도로 인근 주민들이 악취에 시달려 왔다.
고양시의 오랜 설득과 상생협약에 따라 서울시는 최근 약 5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수처리시설 덮개설치, 탈취시설, 주민친화시설 등을 마련했으나, 흐리거나 기압이 낮은 날에는 여전히 악취가 계속되고 있다.
이 시장은 또 "서울시가 계획하는 수색역세권 복합개발이 편익은 서울시민이 누리고, 기피시설은 고양시민이 떠안게 되는 대표적 도시계획”이라며 수색차량기지 상생방안 수립을 촉구했다.
이어 “서울시는 이러한 지방도시의 고충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며 “서울시 정책은 이제 더 이상 서울시만의 것이 아니고, 누가 당선되든 서울시로 인한 피해를 함께 해결할 책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tia@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