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유전자 위치 따라 장내 미생물 구성 달라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전자 31개, 장내 미생물 존재·양 등 영향"

"개인 맞춤형 영양소·약물 개발 등 도움 기대"

뉴시스

[서울=뉴시스] 장내 미생물과 연관된 31개 유전 좌위. (사진= 강북삼성병원 제공)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인체 유전자가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의 존재 여부와 양 등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코호트연구가 참여한 마이크로바이옴 지놈 컨소시엄은 최근 장내 미생물 형성에 관련된 인간의 유전적 요인들을 규명했다고 19일 발표했다.

11개국(한국·미국·캐나다·이스라엘·독일·덴마크·네델란드·벨기에·스웨덴·핀란드·영국)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총 24개 코호트(동일집단) 1만8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장내 미생물군 구성에 영향을 주는 인간의 유전적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과 연관된 인체 유전 좌위(염색상에 유전자가 위치하는 자리) 31개를 밝혀냈다. 이 중 유전 좌위 20개는 장내 미생물의 양에, 11개는 장내 미생물의 존재 여부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우유와 모유에 포함된 주요 당분인 유당(락토스)을 분해하는 효소를 만드는 락테이즈(LCT) 유전자에서의 변이는 유당을 분해 할 수 있는 비피도박테리움의 양과 많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포커실 트랜스퍼레이즈(FUT2) 유전자에서의 변이는 루미노코커스 토크의 양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밖에도 여러 유전자가 장내 미생물 구성에 영향을 미치고 인간의 대사와 영양, 면역에 관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에 참여한 김한나 강북삼성병원 연구지원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규모 국제협력의 좋은 예로, 인간의 유전 요인이 장내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정확하게 평가했다”며 "개인 맞춤형 영양소와 약물 개발 등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호철 강북삼성병원 원장은 “이번 연구에 강북삼성병원 연구진이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참여했다는데 의의가 깊다"면서 "강북삼성병원 코호트는 한국인의 질병 연관 유전자 지도를 만들어 가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더욱 매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유전학지에 실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