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설 앞둔 택배 총파업 돌입 선언할까…사회적 합의기구 최종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일 오후 2·3·5시 국회서 회의

결렬될 경우 전국 택배기사 11% 파업

뉴스1

전국택배노동조합원들이 15일 서울 서대문구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회의실에서 '택배노동자 과로사 관련 사회적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1.1.15/뉴스1 © News1 성동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정혜민 기자 = 19일 택배업체와 노조 간의 사회적 합의 기구 5차 회의가 열린다. 노조는 이날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오는 27일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선언한 바 있다.

노조에 따르면 사회적 합의 기구 5차 회의는 이날 오후 2시, 3시, 5시 총 3차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릴 예정이다.

지난해 추석 즈음 택배기사들의 죽음이 이어졌지만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로 설을 맞이하게 되면서 노조는 총파업을 예고했다.

파업에 나설 경우 참여할 노조원은 5500여 명으로 전국 택배기사 5만여 명의 약 11% 수준이다. 그중 3000여 명은 우체국 택배 소속이다.

노조 관계자는 "이번에 총파업에 돌입한다면 사상 처음으로 CJ대한통운, 우체국, 한진, 롯데, 로젠 등 택배업체 소속 기사들이 모두 파업하게 되는 셈"이라고 했다.

노조는 과로사를 막기 위해서는 택배업체들이 Δ분류작업 인력 투입 Δ야간배송 중단 및 지연배송 허용 Δ택배요금 정상화 등을 이행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 가운데 분류작업은 택배회사가 인력 투입 비용을 전액 부담하고 관리까지 책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10월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한진 등은 분류작업 인력 투입을 약속했지만 약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과로사가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 노조의 주장이다.

노조는 택배기사 과로사의 가장 큰 원인으로 매일 장시간 반복되는 분류작업을 꼽는다.

업체 측에서는 대리점과의 비용 분담 협상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분류작업 인력 투입과 관련된 문제를 당장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토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10년을 끌어온 문제인 만큼 대책을 내놓는데도 시간이 걸린다"고 했다.

노조 측은 "코로나19 확산과 연말연시를 맞아 택배 물량이 폭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과로사 발생이 예견되는 절망적인 상황"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현재 진행 중인 우체국 택배기사들과 우체국물류지원단(우정사업본부의 자회사) 사이의 단체교섭이 결렬될 경우에도 사회적 합의기구 회의 결과와 관계없이 27일 총파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hemingway@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