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이슈진단] 내우외환 시달리는 中 IT기업 투자 전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작년 11월부터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내우외환에 처해 있다. 대내적으로 중국 정부가 알리바바를 비롯한 빅테크 기업에 반독점 규제를 들이대며 빅테크 기업의 문어발식 경영에 칼을 대고 있고, 대외적으로 미국에서 '외국기업책임법'이라는 법안을 마련해 필요 요건을 만족하지 못한 중국 기업을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퇴출시키는 체제를 구축했다.

이런 환경에서 규제 선두에 있는 알리바바의 주가는 작년 11~12월 25% 급락했고, 텐센트도 4~5% 하락했다. 보유 비중도 커 계속 가져가야 할지 문의하는 국내 투자자가 많다.

우선 대외 이슈부터 점검하면 실질 제재 대비 시장의 우려는 과도해 보인다. '외국기업책임법' 규정상 미국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PCAOB)의 회계 감리를 3년 이상 통과하지 못한 해외 기업에 거래를 금지시킨다. 다시 말해 법안 통과가 중국 기업 거래 중단으로 바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3년 동안 회계 감리에 대한 지도와 수정 작업이 이뤄진다는 의미다. 중국 빅테크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 진출도 겨냥하고 있어 기간 내 충분히 수정해 투자자의 이익을 보호해줄 것이다. 게다가 규모가 큰 미국 상장 중국 기업은 홍콩 시장 2차 상장도 추진해 필요시 미국 주식을 홍콩 주식으로 교체하는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문제는 대내적 규제 의도다. 필자는 작년 11월부터 잇따라 등장하는 중국 정부의 빅테크 규제는 사실 마윈 알리바바 회장에 대한 보복보다는, 중국 디지털 산업의 건강한 발전과 리스크 관리 의도가 더 크다고 생각한다.

인구 고령화가 심해지는 중국이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은 디지털경제다. 이미 국내총생산(GDP) 규모의 35%를 차지할 정도로 중국 디지털경제는 빠르게 성장했고 문어발식 경영 생태계는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주도했다.

벤처캐피털(VC), 사모펀드(PEF) 업계에 종사하는 지인의 소개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 생태계에서 벤처기업이 알리바바·텐센트 생태계에 진입하지 못하면 더 이상 성장하기 어렵다고 한다. 이는 빅테크 기업의 독과점이 산업 혁신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특히 알리바바는 앤트그룹을 통해 금융 영역까지 빠르게 장악했다. 대내 규제의 핵심이 결국 산업의 건강한 발전에 방점을 두고 있다면 중국 정부도 빅테크 기업의 도움이 필요하다. 빅테크 기업은 내수 확대를 위한 플랫폼과 빅데이터와 클라우드컴퓨팅 방면에서의 기술 우위, 인력자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도한 우려보다는 중국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과 빅테크 기업의 경쟁력을 감안하면 중국 빅테크 기업이 조정을 받을 때마다 비중을 늘려가는 것을 권유한다.

[최설화 한국투자증권 수석연구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