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내방가사로 보는 조선 여성들의 삶…연구서 '여성, 한글로 소통하다' 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국립한글박물관(관장 심동섭)과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조현재)은 내방가사 연구서 '여성, 한글로 소통하다–내방가사 속 여성들의 이야기'를 공동으로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내방가사는 조선시대에 주로 남도 일대에서 많이 지어졌으며, 조선 후기 부녀자에 의해 지어져 전해진 가사의 총칭으로 조선 여성문학의 한 전형이다.

이 연구서는 양 기관이 소장한 내방가사 자료를 중심으로 고전시가 전공자 8인, 서예 전공자 1인, 국어학 전공자 2인이 조선 후기부터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는 영남 지역의 내방가사들을 분석해 다양한 주제들을 균형 있게 수록한 책이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영남 지역의 종가에서 기탁한 내방가사 자료 330여건을,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260여건을 소장하고 있으나 그동안 개별 소장품들이 연구된 적은 없었다.

연구서에서는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자기 인식, 현실 인식 등 여성들이 생각하고 고민해온 삶의 생생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양 기관은 내방가사에서 쓰인 한글 표기 및 어휘의 특성, 민체(民體)의 특성 등 한글의 언어적·시각적 표기 체계를 연구서에 함께 소개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이번 연구서를 토대로 오는 10월 내방가사를 주제로 한 기획특별전을 개최할 예정이며, 한국국학진흥원은 향후 내방가사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데 기본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국립한글박물관 관계자는 "내방가사는 조선 시대 여성들이 살았던 삶의 생생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기록유산이자 한글문화자원으로서 가치가 크다"며 "여성들이 창작과 전승의 주체가 된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집단 여성문학"이라고 평했다.

그러면서 "오늘날에도 창작·전승되고 있는 장르로 다양한 소재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전시를 통해 일반인들에게도 흥미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서는 전국의 주요 도서관에서 열람이 가능하며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에서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lgir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