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부산지역 미세먼지 주범은 항만의 대기 오염물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연구원 ‘미세먼지 보고서’ 발표

하역장비-화물차량-선박 오염물질

부산 전체 미세먼지의 50% 차지

항만시설 친환경 인프라 구축하고

컨테이너稅 부과 방안 검토해야

동아일보

부산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미세먼지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항만시설과 화물차량, 선박 등에 대한 맞춤형 저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진은 컨테이너로 뒤덮힌 부산신항 전경. 동아일보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의 골칫거리인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

부산연구원은 “부산 지역의 미세먼지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산항을 다룬 ‘항만 미세먼지 이슈와 저감 방안’ 보고서를 내놨다”고 12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항만 하역장비, 화물차량, 선박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2차 생성 물질이 부산 지역 미세먼지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부산에서 관측되는 미세먼지 농도에 2차 황산암모늄염이 약 34%, 2차 질산암모늄염이 약 20%를 차지하는 등 2차 생성 먼지가 부산 전체 미세먼지의 약 50%에 이르고 있다.

2019년 기준으로 부산지역 항만시설에서 질소산화물 4735t, 휘발성유기화합물 449t이 배출됐다. 또 항만구역 화물차량 운행으로 질소산화물 3만9721t, 휘발성유기화합물 1829t이 나왔다. 부산해역 운항 선박에서도 질소산화물 약 2만8000t, 황산화물 약 7000t, 휘발성유기화합물 약 1000t이 검출됐다. 화물차량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은 감천항이 가장 심했다. 다음으로 부산신항, 북항2구역, 북항1구역, 남항 순이었다.

보고서를 작성한 허종배 연구위원은 “항만시설, 화물차량, 선박에서 기인한 2차 생성 미세먼지 증가가 부산지역 조기 사망자 발생률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항만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단기와 중장기 방안을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 시 출퇴근 시간 화물차량 우회 및 통행제한구역 설정, 항만시설 중 친환경 장비 외 사용 제한 조치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 시 항만지역 노후장비의 운행을 중단해 2차 생성원인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을 차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항만 미세먼지의 특성 규명을 위한 시스템 구축도 방안 중 하나다. 항만시설 및 하역장비 인접 지역에 대기오염물질 실시간 농도 모니터링 사이트를 구축하고 장기간 측정 자료를 확보해 정책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또 “선박에서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 중인 선박 배출 대기오염물질 기준과 부산 연안의 선박 저속 운항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중장기적으로 항만 미세먼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허 위원은 “현재 폐지된 컨테이너세를 환경부담금 명목으로 부활시켜 선박·항만으로부터 나오는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부산 시민의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는 사업에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 위원은 장기적 관점에서 철도와 운하 등을 활용한 컨테이너 운송 방안을 마련하고, 화물차량의 항만지역 출입을 원천 봉쇄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제로화하는 그린포트 전략도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낙동강을 통해 친환경 바지선으로 양산지역 물류단지로 이송하거나 철도 시설을 활용한 화물 이송 등으로 도심 진입 화물차량을 최소화해 항만 미세먼지 배출량을 저감해야 한다는 관리 전략도 내놓았다.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