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써레줄부터 트렉터까지, 농업기술백과 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생업기술사전:농업 편'

농업 관련 문화도 총체적으로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국립민속박물관은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일곱 번째 주제 ‘한국생업기술사전: 농업 편’을 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발간한 사전은 한국의 농업기술에 대한 종합적 해설서다. 농업 기술뿐만 아니라 농업과 관련한 문화에 대해 총체적으로 담아냈다.

이데일리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생업기술사전:농업 편’(사진=국립민속박물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전 표제어는 △경작 △농경세시 △노동방식 △농기구농기계 △농작물 △목축 △자료 △제도 △유적 △용어 △농업유산 등으로 범주를 나눠 해설했다.

사전에서는 모내기 전 흙덩이를 부수고 바닥을 편평하게 하는 우리 전통 농경 기술인 써레질부터 현대식 종합수확 기계인 콤바인까지 담았다.

만석꾼, 새마을운동, 구황작물, 귀농 등 시대적 생활상을 담고 있는 항목을 수록했다. 또 둔전제(국방상 요충지에 주둔하는 군대로 하여금 군수 확보를 위해 토지를 경작하도록 한 제도) △공음전(고려시대 5품 이상 관료 중 공음이 있는 관료에게 지급된 상속 가능한 토지) △농사직설(왕명에 따라 조선의 농법을 정리하여 수록한 농서) 등 주요 제도와 농서를 통해 한국의 농업에 대해 보다 풍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농사 관련 전통지식인 농사력, 이십사절기, 논둑태우기도 전한다. 농경세시 관련 항목은 풍속화, 사진, 도면과 함께 배치했고, 농업 관련 속담과 관용구도 정리했다.

또 사전에서는 청산도 구들장 논, 제주 밭담, 금산 인삼농업, 하동 전통 차농업 등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15개 항목을 수록했다.

사전 내용은 웹사전과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볼 수 있다.

한편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은 2004년 ‘한국세시풍속사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전체 8가지 주제 중 6가지가 발간됐다. 향후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