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트럼프 탄핵 정국

'트럼프 당장 떠나라' 압박 가중…美민주 탄핵안 준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든 단합 의지 무색하게 할 것" 우려도 나와

뉴시스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 6일 워싱턴에서 열린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선거인단 투표 인증에 항의하는 집회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2021.01.0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김난영 기자 = 오는 1월20일 조 바이든 차기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현 대통령 즉시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민주당은 탄핵안도 준비하는 모양새다.

뉴욕타임스(NYT)와 의회전문매체 더힐 등에 따르면 미국 민주당은 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탄핵안 기틀을 잡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하원의원 중 약 170명이 탄핵안 초안에 서명했다고 한다. 탄핵안은 이르면 11일 민주당 데이비드 시실리니, 제이미 래스킨 하원의원이 발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고의로 미국 정부에 대한 폭력 행위를 선동했다고 본다. 앞서 미국에선 지난 6일 선거인단 투표 인증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이 의회에 난입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민주당뿐만 아니라 공화당에서도 탄핵 찬성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공화당 벤 새서 상원의원이 대표적이다. 그는 하원에서 탄핵안이 올라올 경우 트럼프 대통령 축출 쪽에 투표하는 쪽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고 한다.

같은 당 리사 머카우스키 상원의원도 트럼프 대통령의 폭력 선동 논란 이후 그의 조기 사퇴에 찬성한다는 뜻을 밝혔다. 수전 콜린스 상원의원의 경우 탄핵 관련 입장을 직접 밝히진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 행동에 분개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마이크 펜스 부통령에게 수정헌법 25조 발동을 고려하라고 압박해온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아직 최종 결정은 내리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 2019년 우크라이나 스캔들 당시 신속하게 탄핵을 추진했던 점과 비교하면 태도가 상당히 다르다.

민주당은 이르면 다음 주 탄핵안 표결이 논리적으로는 가능하다는 입장이라고 한다. 그러나 임기를 불과 2주도 안 남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추진이 현실적인가에 관한 논란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케빈 매카시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는 "임기를 불과 12일 남겨둔 대통령을 탄핵하는 일은 나라를 더 분열시킬 뿐"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1월21일 취임을 앞둔 바이든 당선인도 "의회가 결정할 일은 의회의 몫"이라는 입장이다. 거리를 두는 것이다. 다만 일각에선 취임식 직전 현 대통령 탄핵 추진이 오히려 바이든 당선인의 국가 단합 의제를 무색게 하리란 전망이 나온다.

☞공감언론 뉴시스 imzer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