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의대생 정원을 늘리기로 한 정책에 반발해서 올해 의사 시험을 거부했던 의대생들에게 정부가 시험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주기로 했습니다. 1년에 한 번 보는 의사 국가시험을 내년에는 2번 치르기로 한 건데 다른 국가시험과 비교했을 때 기회를 다시 주는 게 과연 공정한 거냐는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김형래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8월 의대생들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 등에 반대하며 의사 국가시험, 즉 국시 응시를 대거 포기했습니다.
함께 진료 거부에 나섰던 전공의와 수련의들이 복귀한 뒤에도 본과 4학년생의 80% 이상이 국시를 거부했습니다.
[손영래/보건복지부 대변인 (지난 10월 28일) : 의사 국가시험 문제에 대해서는 국민적인 동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종전 입장에서 변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결국 정부가 입장을 바꿨습니다.
내년도 의사 국시를 한 번에서 두 번으로 늘리고, 상반기 시험은 오는 1월 말에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기일/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 특히 의료진들의 피로도도 누적됐고, 공중보건의 약 380명이 부족할 걸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당장 공정성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다른 국가시험과 달리 응시자가 거부한 시험 기회를 다시 부여하는 건 사실상 '특혜'라는 것입니다.
국시 합격자들은 이후 정부 방침에 따라 각급 병원의 수련의로 배치됩니다.
정부는 한 차례 국시를 거부했던 내년 상반기 국시 합격자들의 경우 비수도권 민간병원과 공공병원의 배치 비중을 기존의 67%에서 82%로 높이기로 했습니다.
(영상편집 : 김준희, VJ : 오세관)
김형래 기자(mra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 구독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의대생 정원을 늘리기로 한 정책에 반발해서 올해 의사 시험을 거부했던 의대생들에게 정부가 시험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주기로 했습니다. 1년에 한 번 보는 의사 국가시험을 내년에는 2번 치르기로 한 건데 다른 국가시험과 비교했을 때 기회를 다시 주는 게 과연 공정한 거냐는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김형래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8월 의대생들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 등에 반대하며 의사 국가시험, 즉 국시 응시를 대거 포기했습니다.
함께 진료 거부에 나섰던 전공의와 수련의들이 복귀한 뒤에도 본과 4학년생의 80% 이상이 국시를 거부했습니다.
정부도 수개월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손영래/보건복지부 대변인 (지난 10월 28일) : 의사 국가시험 문제에 대해서는 국민적인 동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종전 입장에서 변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결국 정부가 입장을 바꿨습니다.
내년도 의사 국시를 한 번에서 두 번으로 늘리고, 상반기 시험은 오는 1월 말에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실상 올해 응시 포기자 2천700여 명이 후배들과 분리돼 다음 달 별도로 시험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주겠다는 것입니다.
[이기일/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 특히 의료진들의 피로도도 누적됐고, 공중보건의 약 380명이 부족할 걸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당장 공정성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다른 국가시험과 달리 응시자가 거부한 시험 기회를 다시 부여하는 건 사실상 '특혜'라는 것입니다.
[이창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 : 최대한 빨리 시험을 보게 하는 게 공정성이나 형평성이 맞지 않다는 지적을 할 수가 있겠습니다. 계속 국민들한테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노력을 하겠습니다.]
국시 합격자들은 이후 정부 방침에 따라 각급 병원의 수련의로 배치됩니다.
정부는 한 차례 국시를 거부했던 내년 상반기 국시 합격자들의 경우 비수도권 민간병원과 공공병원의 배치 비중을 기존의 67%에서 82%로 높이기로 했습니다.
(영상편집 : 김준희, VJ : 오세관)
김형래 기자(mrae@sbs.co.kr)
▶ 코로나19 현황 속보
▶ 네이버에서 SBS뉴스 구독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