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유학자 이율곡(1536~1584)은 정론과 직언으로 유명했다. 역사로서 그의 성과나 존재감은 과거에서 아홉 번인 장원을 한 천재, 임진왜란을 내다보고 10만 양병설을 주창한 사람, 퇴계 이황과 함께 성리학의 두 기둥으로 존재하는 명현(名賢)에서 찾을 수 있다.
신문사 편집국장 등을 지낸 저자는 이율곡을 ‘똑똑한’ 천재를 넘어 ‘현명한’ 사상가라는 점을 내세운다. 그래서 정의한 키워드가 ‘맹자’와 ‘주필’이다.
왕을 올바른 길로 이끌어 왕도 정치를 구현하려 했던 정치가·사상가라는 점에서 한국의 ‘맹자’로, 시대의 공론 형성과 유지·발전을 선도한 점에서 조선이라는 신문사의 ‘주필’로 보는 것이다.
율곡은 실제 관직 생활 대부분을 언론 기관인 삼사(三司)에서 보냈고(특히 39세와 43세, 44세 때 사간원 대사간을 지낸 데 이어, 46세 때는 사헌부 대사헌과 홍문관 대제학을 역임하는 등 세 기관의 수장 직을 두루 거쳤다), 왕의 면전에서도 직언과 고언을 쏟아낸 쾌직(快直)한 인물이었다.
저자가 율곡을 특히 언론인으로 더욱 부각하는 배경으로는 다음 다섯 가지 특징을 든다.
①시의에 맞는 상소(‘만언봉사’ 등)와 특별한 저술(‘동호문답’, ‘성학집요’ 등)을 통해 정론직필을 펼친 논설위원이자 오피니언 칼럼니스트 ②객관적인 기술과 사실 묘사(‘경연일기’)로 역사 기록을 남긴 현장 기자 ③냉엄한 인물 평가(‘경연일기’)를 통해 국정과 용인의 잘잘못을 가린 분석·해설가 ④일상의 언행과 국왕 면대를 통해 할 말을 다한 실천 지성 ⑤철저한 현실 감각을 바탕으로 국가와 사회 개혁 방략을 제시한 대기자(大記者) 등이 그것.
“지금은 나라에 기강이 없어 할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만일 이런 상태로 간다면 다시는 희망이 없습니다. 반드시 주상께서 큰 뜻을 분발하시어 일시에 일깨워 기강을 세운 뒤에라야 나라가 될 것입니다. 지금은 공(公)이 사(私)를 이기지 못하고 정(正)이 사(邪)를 이기지 못하니 기강이 어떻게 서겠습니까?”(선조 6년(1573) 경연 중에서)
저자는 “‘징비록’의 유성룡이 사실에 충실한 투철한 종군기자였다면, 경연 활동과 상소 등을 통해 국가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율곡 이이는 신문사 주필이었다”며 “무너져 가는 조선을 다시 세우려 했던 율곡의 치열한 삶은 희미해지는 우리 정치와 사회 현실에도 적지 않은 울림을 준다”고 말했다.
◇한국의 맹자 언론가 이율곡=임철순 지음. 열린책들 펴냄. 280쪽/2만원.
김고금평 기자 dann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