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밖 인사와 함께 다시 국민경선
이길 수 있는 보수·중도 시민후보 뽑아야
현역출마 배제? 현역 빠지면 흥행 안돼
서울선거, 부동산 민심에 호소할 것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는 국민의힘에 중요하다. 특히 대선 전초전 격인 서울시장 선거 결과에 따라 당이 대선 발판을 마련하는지, 아니면 다시 혼란에 빠지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힘은 최근 '서울시재도약특별위원회'를 만들었다. 서울의 미래 로드맵을 그리고 선거 전략을 미리 고민하겠다는 취지다. 위원장은 국민의힘 서울시당위원장인 박성중 의원(재선·서울 서초을)이 맡았다. 최근 그를 만나 서울시장 선거에 대해 들어봤다.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사진=김호영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야권의 관심사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금태섭 전 의원의 행보다. 국민의힘으로 들어와 출마할 가능성, 국민의힘 밖 경선에 참여할 가능성 등이 거론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박 위원장은 '오픈 마인드'를 강조했다. 그는 "당 내 인사만으로 서울시민의 관심을 모을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야권 빅텐트를 쳐야 한다. 열린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구체적으로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당시 박원순 무소속 후보와 박영선 민주당 후보가 단일화를 이뤄 흥행에 성공한 사례를 꼽았다.
박 의원은 "1차 경선 때는 당원들이 후보를 뽑게 하고, 2차 때는 당 밖 인사까지 포함해 국민 경선을 해야 한다"면서 "한마디로 중도보수 시민 후보를 내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2차 경선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그냥 쫄망쫄망한 후보면 안 된다"며 "예를 들어 여론조사에서 5% 이상 지지율을 얻는 등 기본적 자질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철수 대표가 최근 제안한 '혁신 플랫폼'과 비슷한 주장 같다는 물음에 박 위원장은 "텐트를 치되, 국민의힘이 중심에 있는 빅텐트를 만들어야 한다"고 답했다. 안 대표의 혁신 플랫폼이 각자 'n분의 1' 자격으로 참여하는 것이라면 박 위원장의 빅텐트론은 국민의힘이 중심이 된다는 설명이다.
현역 의원 출마 배제 문제와 관련해서는 "당 지도부는 현역 의원은 좀 안 나갔으면 좋겠다는 의지가 있는 거로 안다"며 "그런데 흥행을 하려면 현역 의원이 빠지면 안 된다. 현역 의원이 이슈 몰이를 해줄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사진=김호영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 위원장은 "내년 재보궐선거는 모든 것의 터닝포인트"라며 "여당 후보를 이길 수 있는 후보를 뽑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 "서울·부산시장 (경선을) 같이 갈 필요가 없다"며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보궐선거의 승산을 묻자 박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 잘못으로 치러지는 선거라는 점을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보궐선거가 발생한 건 성추행 의혹 때문"이라며 "민주당은 분명 이런 문제로 보궐선거가 열리면 후보를 내지 않겠다고 큰소리 뻥뻥 쳤는데 후보를 내겠다고 한다"며 "약속을 지키지 않는 정당과 개인을 앞으로 어떻게 믿겠냐"고 꼬집었다.
서울시재도약특위는 문재인정부 부동산 정책을 파고든다는 계획이다. 박 위원장은 "부동산 정책이 완전히 엉망진창"이라며 "공시지가를 엄청나게 올려서 서초구 내 많은 곳은 세금이 전년 대비 70%나 뛰었다"고 비판했다. 또 "6억원 이하 주택 보유자만 세금을 깎아준다고 했다. 이는 편가르기 정책"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재도약특위는 전세난 현상 등을 상세히 분석해 조만간 보고서를 내놓을 예정이다.
박 의원은 "당이 패배의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자꾸 후보가 없다, 모자라다 이런 말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아쉬워했다. 이어 "여권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되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박주민 의원이 최근 몇 년간 무엇을 보여줬느냐"고 주장하며 "우리 후보가 1대1로 붙으면 절대 꿀리지 않는다. 후보 선출 전략만 잘 짜면 충분히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희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