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바이든 "당신의 노고에 감사"…DJ와 서한 교환하며 민주화 지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BS

▲ 바이든 당선인이 1983년 9월 30일 보낸 편지

"(한국 민주화를 위한) 당신의 노고에 감사한다. 내 도움이 필요하면 주저 말고 연락해달라."(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983년 9월 30일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쓴 편지 중)

1980년대 김 전 대통령과 바이든 당선인이 주고받은 편지 2점이 9일 최초로 공개됐습니다.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이 이번에 공개한 사료는 1983년 9월 30일 바이든 당선인(당시 상원의원)이 김 전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와 1984년 2월 27일 김 전 대통령이 바이든 당선인에게 보낸 편지입니다.

김 전 대통령은 1982∼1985년 미국 망명 기간 미국 주요 인사들에게 한국 민주화와 미국의 대외정책을 주제로 한 자신의 연설문과 기고문을 동봉한 편지를 지속해서 보냈습니다.

바이든 당선인이 보낸 편지는 앞서 김 전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편지에 대한 답신입니다.

이 편지에서 바이든 당선인은 "당신이 보내준 정보가 유용할 것"이라며 "당신이 다루는 문제들을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민주당 상원의원이었던 바이든 당선인은 김 전 대통령의 한국 민주화를 위한 활동을 적극 지지하고 협력한 의원 중 한 명이었습니다.

이때부터 바이든 당선인과 김 전 대통령은 친분을 쌓아왔습니다.

김 전 대통령은 이듬해인 1984년 바이든 당선인에게 개별적으로 보낸 편지에서 같은 해 2월 25일 전두환 정권의 정치 인사 202명에 대한 해금 조치는 기만적인 조치라고 비판하고 이런 '긴급한 현안'에 대한 논의를 위한 회의를 제안했습니다.

SBS

2001년 한국 찾아 당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악수하는 바이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대중도서관은 "이번 사료는 김 전 대통령과 바이든 당선인의 관계가 시작된 1980년대 초중반 시기 두 사람과 관련된 사료의 최초 공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서거했지만 김 전 대통령과 오랜 기간 긴밀한 인연을 맺었던 바이든이 미국 대통령에 당선됐기 때문에 향후 대미 외교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이런 사실을 참조하는 것은 한국 국익 실현에 있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제공, 연합뉴스)
권태훈 기자(rhorse@sbs.co.kr)

▶ [기사 모아보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
​▶ [뉴스속보] 코로나19 재확산 현황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