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력 앞서나 정보유출 가능성 있어" 업계 한목소리
26일 드론 업계 및 학계에서는 중국산 드론 사용 시 보안 사고 가능성으로 인해 중요 정보를 다루는 공공 등 부문은 국산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하지만 이미 전세계 드론 시장에서 중국 디제이아이(DJI)사 제품은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 등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고, 점유율이 4분의 3 정도로 가장 높은 만큼 현실적으로 중국산 드론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드론 시장조사 업체 드로니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드론 시장 점유율에서 DJI가 차지하는 비중은 76.8%였다. 뒤이어 인텔(3.7%) , 유닉(3.1%)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 시장에서도 비슷한 점유율을 보인다는 게 업계 전반의 의견이다.
[이미지=아이뉴스24] |
김용대 카이스트 교수는 "국내산 혹은 오픈소스 드론 대비 DJI사 드론이 기술 등 측면에서 뛰어난 건 사실"이라면서도 "그러나 외신 보도 등에 따르면 DJI 드론은 데이터 유출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보안사고 발생 등) 우려스러운 것도 맞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외신에서는 DJI 드론 관련 데이터 유출 보도가 잇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7월에는 DJI사가 자사 드론 조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사용자 핸드폰 단말 고유번호와 심 카드 일련번호 등 개인정보를 빼낸 정황이 확인된 것이다.
이에 대해 김용대 교수는 "국가 기반시설의 경우 중국산 제품 사용을 지양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이 같은 문제제기가 나왔다.
조오섭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국감에서 "한국공항공사의 드론 입찰에는 10여 개 한국업체가 참여했지만 결국 가격 경쟁에서 밀려 매해 값싼 중국산 DJI사 제품이 낙찰됐다"며 "가격 경쟁력만 따지다 항공로라는 중요 국가 정보가 유출될 위험을 감수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공항공사는 항행안전시설 점검, 교육 등 목적으로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억9천300만원을 투입해 13기의 드론을 구입했는데, 모두 DJI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은 이미 지난해 중국산 드론 구매를 금지하는 조항을 '국방수권법'에 추가했고, 최근 일본은 내년부터 중국산 드론을 구매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공항공사 측은 프로젝트에 필요한 드론을 구매했을 뿐 국내산 제품을 일부러 배제한 건 아니라고 해명했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DJI 제품들은 국내 제품 대비 성능적으로 앞서 있다"며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탑재해야 하는 프로젝트 특성상 DJI 드론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고 했다.
현재 공공·지자체 등 부문에서 국내산 드론 사용률은 절반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강준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토부에서 제출받은 '국내 국산 드론 전체 보유 현황'에 따르면, 지자체는 11.2%, 전체 공공기관은 26.3%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은 40% 국내산 드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은정기자 ejc@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