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출석 부총리, 기본소득 도입에 난색
“효과·재원·공감대·해외사례 보면 쉽지 않아”
이재명 “새로운 경제전략 논의 막는 기재부”
이재명 경기도지사,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뉴스 제공 |
홍남기 부총리는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기본소득에 대해 질의하자 “도입이 시기상조”라며 “지금 상황에서 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답했다. 기본소득은 국가가 모든 국민에게 조건 없이 현금성 수당을 지급하는 것으로 긴급재난지원금을 상시적으로 확장한 개념이다.
홍 부총리는 “기본소득 도입했을 때 효과, 재원, 국민적 공감대, 해외 사례 보면 우리 여건상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부총리) 개인 의견이 아니고 기재부에서도 이것 가지고 충분한 토론을 거쳤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1인당 30만원(지급하는 것)이면 필요한 재원이 기존의 복지체계 예산이 190조보다 많은 200조원 정도다. 전체 예산 550조원의 절반 수준”이라며 “논의한다고 해서 (재원 문제가) 해결이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에서 입법 논의하면 정부 입장 내겠습니다만 도입에 대해 긍정적 측면 얘기하기에는 (힘들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지자체나 정치권에서는 기본소득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지사는 지난 8일 페이스북에 “기본소득 논의조차 가로막는 기재부”라며 “정책을 대하는 기재부의 눈높이가 참 아쉽다”고 비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