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홍남기 “서울신문 지분, 특정 기업에 매각은 호사가가 만든 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국감장에 뜬 서울신문… “발달장애인 코로나 대책 조속히 수립하라” -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장에 주요 질의 자료로 나온 서울신문. 복지위 소속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날 대형스크린에 서울신문이 연재한 탐사기획 ‘코로나 블랙-발달장애인 가족의 눈물’ 내용을 담은 발표 자료를 띄워 발달장애 거점병원의 의료서비스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기재부가 서울신문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게 특정 건설업체에 넘기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조해진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호사가들이 만든 말인지 모르겠으나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서울신문 1대 주주인 기재부는 지난 7월 지분(30.49%) 전량을 매각하겠다고 밝혔고, 2대 주주인 서울신문 우리사주조합은 조합원 투표를 거쳐 지분 인수 의사를 밝혔다. 시민단체 등은 기재부가 갑작스럽게 지분 매각 의사를 밝힌 게 3대 주주인 호반건설에 넘기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홍 부총리는 “서울신문 지분을 매각할 때는 서울신문 측과 긴밀하게 협의하도록 양해각서(MOU)가 체결돼 있다”며 “서울신문과 많은 논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서울신문 매각 방침이 결정된 것이냐’는 조 의원 질의에는 “그 자리는 아니었다. 정부가 특정 신문사 지분을 갖고 있을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올해뿐 아니라 과거에도 문제 제기가 있었다. 정부가 언론사 지분을 보유하는 건 괜한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답했다.

기재부는 그간 서울신문에 코로나19 위기로 국가 재정이 악화되면서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지분 매각 방침을 정했다고 했는데, 이전부터 매각 의사가 있었음을 밝힌 것이다. 홍 부총리는 “정부가 갖고 있는 자산을 매각할 때는 국가계약법 등의 절차를 따라야 한다”며 “(언론정책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의 협의 과정에서 큰 문제는 없었다”고 말했다.

최근 심화된 전세난도 도마 위에 올랐다. 홍 부총리는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이 ‘가격제한조치 등 전세대책을 검토하고 있느냐’고 묻자 “과거 10년 동안 전세대책을 다 검토했는데 뾰족한 단기대책이 별로 없다”고 답했다. 이어 “전세시장에 가장 좋은 대책은 공공임대주택을 아주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라며 “정부도 이미 그런 로드맵을 마련해 적어도 네 분 중 한 분은 안정감 있게 전세를 할 수 있게 공급대책은 계속 차질 없이 밀고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내년부터 주식 양도소득세를 부과하는 대주주 기준을 10억원에서 3억원으로 강화하는 방안은 예정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2년 6개월 전 시행령으로 이미 개정된 만큼 그대로 갈 수밖에 없다”면서 “다만 가족합산 방식은 개인별 과세로 전환하는 쪽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