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미술의 세계

경주 황용동 절터서 통일신라 금동귀면 등 유물 20여점 출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경주 황용사 절터 출토 금동제 유물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경북 경주 도심 동쪽 황용동에 있는 황용사(黃龍寺) 내 절터에서 통일신라시대 투조 금동귀면 등 금동제 유물 20여점이 출토됐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문화재청 지원을 받아 진행하는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 사업' 일환으로 지난달 절터의 중심 영역 서쪽 구간에서 발굴조사를 한 결과, 이런 성과를 거뒀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는 지난 2018년 이곳에서 발굴돼 국내 최초로 확인됐던 투조 금동귀면이 2점 추가 출토됐고, 당간(幢竿)의 일종인 금동보당(寶幢)과 기단, 금동불상 옷자락 조각, 금동사자상, 금동연봉, 금동촛대받침 등이 발굴됐다.

연합뉴스

투조 금동귀면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불교문화재연구소에서 따르면 이번에 발굴된 투조 금동귀면은 지난 조사에서 확인된 금동귀면과 형태는 비슷하지만 크기와 수염 및 귀의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 또 금동보당과 기단은 당간부와 기단부를 합친 길이가 110㎝로, 리움미술관이 소장한 길이 73.8㎝의 고려 시대 보당보다 크다.

연합뉴스

금동보당(위)과 기단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최인창 불교문화재연구소 팀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보당은 건물 안에서 깃발을 걸어 무언가를 알리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작게 제작해 설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동불상 옷자락 조각 직경이 30㎝ 이상인 것으로 볼 때 불상은 1m 이상이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금동사자상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두 점이 출토된 금동사자상은 길이가 17㎝ 정도이고 앞·뒷다리를 쭉 뻗어 무엇인가를 받치는 모양새다. 경주 분황사 출토품과 자세가 유사해 주로 촛대나 통일신라시대 등잔의 일종인 광명대(光明臺)를 받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금동사자상 받침 추정 비교안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이외에도 금동연봉, 금동촛대받침 등 다양한 금동제 유물이 확인돼 창건 당시 황용사의 격이 매우 높았던 것으로 여겨진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황용사 절터 서쪽 유구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조사에서는 서탑 주변에서 회랑, 건물지, 석축, 석렬(石列, 돌을 일렬로 쌓은 것), 진입부 등 유구도 확인됐다.

최 팀장은 "황용사는 계곡을 따라 석축을 여러 단으로 쌓아 평지를 조성한 후 이곳에 건물을 지은 산지형 가람으로, 기단이나 초석 등이 중복된 것을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돼 조선시대까지 번창했던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탑 구역의 유구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 2018년 이곳 절터에서는 석불, 소조불, 용두 조각, 하대석 조각, 명문 기와 등이 나왔고,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조성한 건물지 유적 5동과 탑 터, 축대, 석렬이 확인된 바 있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22일 오후 2시 이번 발굴조사 성과에 관한 공개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dkl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