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인삼 재배기술과 약용문화, 국가무형문화재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농경 분야에서 무형문화재 지정 예고는 처음

연합뉴스

인삼 열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인삼 재배가 성행한 시기는 18세기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 문헌인 산림경제, 해동농서, 임원경제지 등에서는 인삼 재배 및 가공 관련 기록이 확인된다. 이들 서적에 있는 전통 지식은 오늘날까지도 인삼 재배 농가에 전승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인삼 재배와 약용문화'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고 28일 밝혔다. 2016년부터 전통 지식에 대한 무형문화재 지정이 가능해진 이후 농경 분야에서 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인삼밭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화재청에 따르면 인삼은 우리나라에서 오랜 기간 재배, 활용되면서 이를 매개로 한 음식·의례·설화 등 관련 문화가 풍부하다. 그 효능과 희소성으로 불로초(不老草) 또는 만병초(萬病草)로 여겨지기도 했다.

인삼 재배와 문화는 오랜 역사 속에서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됐고, 조선 시대 각종 문헌에서 효과와 재배 관련 기록이 확인됐으며, 한의학을 비롯한 관련 분야 연구가 활발하다는 점과 음식·의례·설화 등 관련 문화가 전승되고 있는 점, 현재에도 세대 간 전승을 통해 농업 지식이 유지되고 있는 점 등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다만, 전국의 인삼 재배 농가를 중심으로 관련 지식이 전승되고 있고, 온 국민이 향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에서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인삼 문양이 새겨진 자수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화재청은 예고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dkl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