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화웨이 어쩌나? 美 제재에… 오늘부터 반도체 못 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중국 최대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가 미국 정부의 추가 제재 조치에 따라 오늘(15일)부터 ‘반도체 부품’ 수급이 어려워진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발표한 추가 제재 조치에서 이날부터 미국 기술을 부분적으로라도 활용한 세계의 전 반도체 기업은 미국 상무부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만 화웨이에 제품을 팔 수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화웨이에 반도체 부품을 판매하는 것을 승인해줄 가능성이 희박함에 따라 화웨이의 반도체 구매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단 관측이 나온다.

5G 통신장비, 스마트폰, 컴퓨터, TV 등 화웨이가 생산하는 거의 모든 제품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통신용 모뎀칩, D램·낸드 같은 메모리 등 반도체 부품이 필수적으로 들어간다.

미국은 지난해 5월 자국 기업들이 화웨이와 각종 거래를 할 수 없도록 금지한 데 이후 올해 5월에는 화웨이가 독자 설계한 반도체 칩을 대만 TSMC에 맡겨 생산하는 ‘우회로’를 막았다. 이날부터는 사실상 세계의 모든 반도체 구매 길이 막혔다.

미국의 고강도 제재에 화웨이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정식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 데 이어 퀄컴 등 반도체 부품 수급도 사실상 막혔다. 우리나라 반도체 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화웨이와의 거래를 중단한 상태다.

화웨이는 미국 정부의 제재가 풀릴 때까지 그동안 비축해온 재고 부품을 사용하며 버틴다는 계획이다.

만약 오는 11월 치러지는 미 대선 이후에도 지금과 같은 고강도 제재가 계속된다면 화웨이는 존망의 갈림길에 서게 될 수도 있다. 이미 일부 부품이 부족해 당장 내년부턴 제품 생산길이 막힌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

사진=화웨이 홈페이지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