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이재명 지사 대법원 판결

이재명, 지방채 발행 통한 '전도민 2차 재난소득' 카드 만지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방채 발행해서라도 추가 지원 논의 나와 고민중…도의회가 결정"

'선별지급에 반기' 모양새 우려…"방역 상황 보며 연말·연초 지급 검토"

연합뉴스

이재명 "지역화폐 사용 시 25% 인센티브"
(수원=연합뉴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9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침체한 지역 상권을 살리기 위한 소비지원금 지급안을 밝히고 있다. 2020.9.9 [경기사진공동취재단] stop@yna.co.kr



(수원=연합뉴스) 김경태 기자 = 경기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제대책으로 지방채 발행을 통한 2차 재난기본소득 지급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당장은 확보한 재원이 없어 지급할 여력이 없지만, 도민 경제 사정이 더 어려워질 경우 빚을 내서라도 추가로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10일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방채를 발행해서라도 추가 지원을 하자는 논의가 내부와 도의회에서 나오고 저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를 전액 지역화폐로 지원할지, 25% 매출 인센티브로 줄지, 50% 대형 지원 방식으로 50만원짜리를 사면 25만원을 지원하든지 방법이 있다"며 "인센티브를 하면 승수 효과가 생기니까 여러 가지 방법들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전날 '지역화폐 소비지원금' 지급계획을 발표한 뒤에도 지방채 발행을 통한 2차 재난기본소득 지급 계획에 대해 "도민 1인당 10만원씩을 지급한다고 해도 무려 1조3천억원이 넘는 돈이 필요해서 쉽게 결정하긴 어렵다"면서도 "연내 경제상황이 어려워지면 미래 자산을 동원해서 현재 위기를 극복하는 게 자원 배분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도의회와 협치해야 하고 의회가 결정할 일"이라고 슬쩍 의회에 공을 떠넘겼다.

이에 박근철 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은 "국가만 쳐다보면 안 되고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확보한 예산 사정이) 안 되면 지방채라도 발행해야 하는 시기가 왔다"고 말했다.

경기도가 2차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데 따른 재정 부담을 우려하면서도 지방채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이유는 낮은 채무 여건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경기도 채무액은 2조1천154억원으로 도민 1인당 약 16만원꼴이다. 이는 서울시 57만원, 인천시 60만원, 부산시 75만원 등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이 지사는 그동안 '착한 채무'의 필요성을 여러 차례에 거론해왔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지난해 세입 둔화와 세출 증가로 지방 재정 여건이 악화하자 시군 지자체 지방채 발행 확대를 통한 투자를 유도하기도 했다.

일반 재원을 이용하면 20~30년이 걸리지만, 채무를 활용하면 지자체 재정 부담을 오히려 분산할 수 있다는 논리이다.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이 지사는 국채 발행을 재원으로 정부의 2차 재난지원금 지급의 필요성을 여러 차례 촉구한 바 있다.

이 지사는 "현재 위기상황에서 100만원과 경제 형편이 나아졌을 때 100만원의 가치는 다르다"며 "이 두 가지를 비교해서 현재 지출이 미래 지출보다 낫다는 확신이 들면 당연히 해야 한다. 그게 지방채 제도를 도입한 이유"라고 말했다.

경기도가 2차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결정한다 해도 당장은 어려울 전망이다.

정부의 2차 재난지원금 집행에 혼선을 줄 수도 있고, 당정의 '선별지급'에 반기를 드는 것처럼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중복 또는 이중 지원으로 효과가 반감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2차 재난기본소득 지급 여부는 향후 정부의 2차 재난지원금 효과와 코로나19 방역 상황, 재정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결정할 사안"이라며 "지급한다고 하더라도 그 시기는 당장은 어렵고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재난기본소득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ktk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