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재난지원금 지급

김상조 "2차 재난지원금, 소득증명 없이 기존자료로 신속히 지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정진우 기자]

머니투데이

[서울=뉴시스]홍효식 기자 =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2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0.09.02.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the300]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8일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과 관련해 "본인이 소득을 증명할 필요가 없는 방식으로 정부가 이미 갖고 있는 행정자료와 전달체계를 통해서 대상을 선별하고 신속하게 지급하는 시스템으로 구축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이같이 말한 뒤 "대부분 (대상자들에게) 소득 증명 절차 없이 지급하는 방법을 찾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주요 지원 대상엔 소상공인들이 대거 포함될 예정이다. 김 실장은 "추석 전 상당 부분 지급하려는 전달 시스템을 짜려고 한다"며 "최소한 현금이 직접 나가지 못하는 부분도 대상자 통보까지는 완료하려 한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2차 긴급재난지원금 선별 지원 방침과 관련해 "지금 상황에서는 어려운 분들한테 더 많은 도움을 드릴 수 있고, 그것이 경제를 버티게 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정책적 판단도 들어가 있다"고 설명했다.

전 국민 지급을 주장했던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이 같은 방침에 대해 강경한 어조로 비판했던 데 대해선 "그분들의 논리나 진정성을 폄훼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 상황이 언제 끝날지 모르고, 또 감염이 확산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며 "그러한 예상 하에서 정부의 재정 지원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 있었고 재정적 고려 요소도 분명히 있었다"고 설명했다.

국가부채로 인한 재정건건성 우려가 제기되는 데 대해선 "단기적으로 우리나라가 다른나라에 비해 굉장히 재정건전성이 좋고 여력이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 재정 정책을 적극적으로 확장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의 설명에 따르면 4차 추경 집행이 끝나면 지난해 본예산에 비해 지출 규모가 18% 정도 증가하게 된다.

김 실장은 다만 국가부채비율 증가 속도에 대해서는 우려했다. 그는 "그것이 적절하게 통제되지 않는다면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 중장기적으로 올 수도 있다"며 "분명히 그건 부인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내년도 본예산안 국회 상정 당시 정부가 5년 기한의 중기재정계획과 2060년도까지의 장기재정전망 계획서를 제출했다는 것을 언급하며 "정부가 정책적 노력을 하지 않았을 때 2060년이 되면 (국가부채비율이) 80%로 예상되는데, 적극적인 정책을 통해 2060년에 60%이하로 유지하는 게 정부의 목표"라고 전했다.

김 실장은 또 부동산 문제와 관련, "정부의 공식 통계인 한국감정원 자료에 따르면 거의 4주 동안 서울 전체에 집값 상승률이 거의 '0'에 가까웠다"며 "강남 4구는 4주째 '0'이다. 평균적으로 추세적으로 안정화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다만 "일부 지역, 일부 유형의 주택의 경우 또 (집값이) 튀는 부분도 있다"며 "그런 부분을 관리하기 위해 선별 대책들을 정부가 마련하고 있다. 부동산 거래 분석원과 같은 노력이고 대출 규제를 갭투자나 법인투자를 막는 촘촘한 선별대책까지 결합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동산 정책의 전체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대해서는 "과연 효과적이냐라는 것에 대해선 동의되지 않는 부분도 있다"며 부정적 입장을 내비쳤다.

한국판 뉴딜 펀드와 관련해 일각에서 '관제펀드'라고 비판하는 데 대해선 "정부나 정책금융기관이 일정 정도 리스크를 커버하는 것은 예가 없는 게 아니다"며 "정책금융계는 이미 이런 구조의 정책펀드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정진우 기자 econpho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