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재난지원금 지급

재난지원금 효과 끝나자 소비도 '뚝'…여당은 2차 재난지원금 공식화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7월 산업활동동향'…승용차 개소세 인하 축소로 내구재 판매도 급감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긴급재난지원금 효과가 끝나자마자 소비가 고꾸라졌다. 정치권에선 2차 재난지원금 지급 논의를 공식화하는 분위기다.

통계청은 31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서 지난달 전산업생산이 전월보다 0.1% 증가했다고 밝혔다. 광공업·서비스업생산 증가율 동반 둔화에도 간신히 ‘플러스’를 유지했다. 설비투자와 건설기성(시공실적, 불변)은 각각 2.2% 감소, 1.5% 증가를 기록했다. 특히 소비쿠폰·재난지원금 지급에 힘입어 4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했던 소비(소매판매)는 6.0% 급감했다.

소매판매는 승용차 등 내구재(-15.4%), 의복 등 준내구재(-5.6%), 의약품 등 비내구재(-0.6%)가 모두 줄었다. 소매업태별로 면세점과 편의점은 각각 8.5%, 0.8% 늘었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은 11.2%, 전문소매점은 5.7%, 백화점은 7.2% 각각 줄었다. 1~3월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소매판매는 4월(5.3%) 반등해 3개월 연속 증가하던 상황이었다. 5~6월에는 전년 동월을 웃도는 수준까지 회복됐다. 하지만 7월 급감으로 전년 동월 수준을 간신히 유지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소매판매는 2~3월에 크게 위축되었다가 재난지원금이나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등 정책효과로 크게 반등해서 6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6.3% 늘며 전년 수준을 회복했다”며 “다만 7월에는 개소세 인하 폭이 축소되는 등 정책효과가 감소하고, 유례없이 긴 장마의 영향으로 냉방가전 등에 대한 소비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재난지원금이 5~6월 중 90% 이상 소진된 것도 소비 감소의 주된 배경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2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검토 중이다. 이미 4~6월 소비 회복으로 효과가 증명됐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경기가 재위축될 우려가 커 명분은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30일 신임 지도부와 화상간담회에서 “이번 주 전반쯤에 당·정·청 회의가 열리도록 준비되고 있다”며 “주로 민생 지원과 코로나 상황, 이런 것들을 점검하고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회의에서는 재난지원금 문제도 논의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다만 1차 재난지원금처럼 전 국민 지급보단 저소득층 및 코로나19로 소득이 감소한 휴직 근로자, 자영업자, 실직자 등에 대한 선별 지급에 무게가 쏠린다.

2차 재난지원금 지급 등 추가적인 재정지출이 없으면 8월 이후 소비 등 경기는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그나마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7.2로 전월보다 0.2%포인트(P),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3으로 0.4P 각각 오르며 2개월 연속 동반 상승했지만, 여기에는 코로나19 재확산이 반영되지 않았다. 이달 초 수도권 교회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이날까지 18일째 신규 확진자가 100명을 웃돌고 있다. 이날도 248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안 심의관은 “산업활동이 코로나19 확산 양상에 따라 좌우되는 모습”이라며 “8월 중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는 경제외적 충격이 발생했는데 이 부분이 7월 산업활동동향 수치에 반영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생산은 광공업이 1.6%, 서비스업은 0.3% 증가했다. 광공업은 반도체(-4.8%) 부진에도 자동차(14.4%), 기계장비(6.0%) 등이 늘었다. 제조업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세를 이어갔다. 출하는 내수와 수출이 모두 늘며 전월보다 1.6% 증가했다. 재고가 소폭(0.2%) 증가했으나, 재고/출하 비율(재고율)은 116.0%로 1.7%포인트(P) 내렸다. 평균가동률은 70.0%로 1.8%P 올랐다. 단 제조업 등 광공업생산을 회복세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증가율이 전월 7.2%에서 1.6%로 둔화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2.5% 줄며 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어서다.

서비스업생산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전월 대비 증가율은 전월 2.2%에서 0.3%로 둔화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 줄며 5개월 연속 감소세다. 산업별로 도소매업이 1.4%, 교육서비스업은 1.7% 감소했으나, 금융보험업이 2.2% 늘었다. 숙박·음식점업도 2.3% 증가했다.

[이투데이/세종=김지영 기자(jye@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