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뛰려면 내년 3월 초 사퇴해야
당헌 고쳐 서울·부산시장 낼지 관심
공천 땐 승패에 정치적 입지 갈려
친문 선긋기 한계, 관리형 머물 수도
지난 29일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신임 당 대표로 선출된 이낙연 의원의 수락 연설이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 TV를 통해 중계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어대낙(어차피 대표는 이낙연)’ 예상은 적중했다. 지난 29일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이낙연 신임 대표가 60.77%의 득표율로 선출됐다. 2위 김부겸 후보(21.37%)와 3위 박주민 후보(17.85%)를 압도했다.
임기는 원칙적으로 2년이다. 하지만 대선 후보군으로 분류되는 이 대표의 임기는 길어야 내년 3월 초까지다. 당권·대권 분리 당헌에 따라 대통령선거 1년 전인 내년 3월 9일까지 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6개월 남짓한 임기 동안 정부·여당의 성공, 대선 경쟁력 입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대표 수락 연설의 키워드는 ‘코로나 국난 극복’이었다. 729단어로 된 연설문에서 ‘코로나’와 ‘국난’이란 단어는 일곱 번씩 등장했다. ‘5대 명령’으로 이름 붙인 향후 과제에서도 관련 내용이 세 가지나 됐다.
그는 “(당내) 국난극복위원회를 확대 재편하고, 그 위원장을 제가 맡겠다”고 했다. 한 전략통 의원은 “당·정·청을 모두 묶어 방역의 최전선에 서겠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이 대표는 30일에도 “대단히 엄중한 시기”라며 “민생 지원에 대해선 추석 이전에 실행해야 할 것이 있기 때문에 당·정·청 회의를 바로 시작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이번 주 전반께 회의가 열리도록 준비되고 있다. 그 회의에서 재난지원금 문제도 논의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당 대표 경선 결과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치 일정에선 내년 4·7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가 중요하다. 이 대표는 내년 3월 초까지 사퇴해야 하지만, 1~2월로 예상되는 공천 절차를 고려하면 선거 결과는 고스란히 이 대표 책임으로 돌아오게 된다.
먼저 공천 여부부터 정해야 한다. 민주당 당헌은 ‘당 소속 공직자의 중대한 잘못으로 재·보궐선거를 실시하게 된 경우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오거돈 전 부산시장과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모두 성추행 사건에 연루된 혐의를 받고 있어 당내에서도 “이번엔 공천하지 말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대표는 경선 과정에선 “지금부터 그 문제로 논란을 벌이는 것은 일에 순서가 맞지 않다”며 신중론을 폈다. 만약 공천이 결정된다면 선거 승패가 정치적 입지와 직결된다. 과거 민주당에선 재·보궐 선거 참패로 당 대표가 흔들리곤 했다. 손학규 전 대표는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단일화 과정에서 무소속 박원순 전 서울시장에게 패하자 사의를 표명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2015년 재·보선 참패로 내홍을 겪었다. 민주당 관계자는 “자칫 참패할 경우 이 대표가 상처받는 건 분명하다”고 했다.
당·청 관계도 주목할 부분이다. 이 대표는 경선 과정에서 “총리는 2인자지만 대표는 1인자다. 그래서 (당선 뒤엔) 새로운 이낙연을 보시게 될 것이라는 걸 예고해 드린다”고 밝혔다. 당선 직후에도 “필요하면 언제든지 대통령을 뵙고 국민과 당의 의견을 전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사실상 ‘친문’ 세력의 낙점을 받아 당선됐고, 대선 경선에서도 이들의 지원이 절실한 만큼 이 대표가 자기 색깔을 내며 수직적 당·청 관계를 개선하는 데엔 한계가 있을 것”(민주당 관계자)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개인 지지율이 높게 유지되면 구심력이 발휘되겠지만, 그렇지 못한다면 보궐선거 공천, 차기 당권 경쟁 등 이슈들에 끌려다니는 관리형 대표로 전락할 위험도 있다”고 했다.
한편 이 대표는 30일 대표비서실장에 오영훈 의원, 정무실장에 김영배 의원을 임명했다. 수석대변인엔 최인호 의원이 내정됐다.
오현석 기자 oh.hyunseok1@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