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지역정치와 지방자치

김현아 "김현미, 유치하고 무식…정부가 시장변화 왜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지영 기자]
머니투데이

김현아 자유한국당 의원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일산 서구(고양시 정) 국회의원 선거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현아 미래통합당 비대위원은 '서울집값 평균 10억원 돌파'라는 관련 통계를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일부 아파트만 반영한 결과로 의미가 없는 통계"라고 평가한 것을 두고 "유치하고 무식한 말이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은 28일 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와 인터뷰에서 진행자가 "부동산 114가 '서울 집값이 평균 10억원을 넘어섰다'는 것에 대해 김현미 장관이 "일부 몇 개 아파트를 모아서 본 것으로 통계적으로 큰 의미 없다'고 말했다"고 하자 "민간 조사를 존중해줘야지 통계적 의미가 없는 것처럼 폄훼하는 것은 국토부 통계에도 별로 도움이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은 "부동산114가 평균 서울의 주택 가격이 10억이 넘었다고 보도자료를 냈으며 KB통계도 거의 10억(9얼8000만원)에 육박했다. 민간도 주먹구구식으로 통계를 내놓지는 않는다"며 "김 장관이 말한 것처럼 몇 개 사례를 취합해서 평균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한국감정원 시세에 대해선 "감정원 통계가 민간 통계보다 늦게 시세를 반영하는 패턴을 계속 보이고 있다"며 "정부가 시장의 변화를 조금 늦게 반영하고 약간 숨기려고 하거나 왜곡하려고 하는 게 아닌가라는 의구심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올바른 정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현실을 제대로 보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며 "신속하게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통계를 서로 비교하면서 시장 상황을 골고루 파악해야지 국가 통계 하나만 갖고, 민간 통계는 다 무시하는 식의 접근은 아니다"며 김현미 장관과 정부의 인식전환을 촉구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위원은 "주간 단위 가격 변동률을 가지고 정책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라며 "지금 발표되는 주간 단위 가격 상승지수도 보면 상승률이 둔화된 것이지, 아직 하락된 것도 아니"라고 꼬집었다.

이어 "통계적으로 의미를 가지려면 한 최소 3개월 정도는 지켜봐야 된다. 과거 23번의 대책을 내놓을 때까지 정부 대책이 한 달 내지는 길게는 3~4개월 정도 잠깐 효과를 나타낸 적이 있었는데, 그 뒤에 정책 효과가 다 사라지면서 가격이 반등한 적도 많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지영 기자 kjyou@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