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상반기 취업자 작년보다 5만9000명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


코로나19 여파로 올 상반기 취업자수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특히 5월 이후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여건이 개선되는 듯 보였으나 2차 유행으로 인해 취업자 감소는 한동안 더 이어질 전망이다.

2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2020년 상반기 고용동향 및 주요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취업자는 2679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만9000명 감소했다.

상반기 취업자 숫자가 전년보다 감소한 것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2008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27만3000명이 증가한 취업자 숫자는 2009년 상반기 14만7000명이 급감했다. 이후 2010년 상반기에는 23만3000명이 증가하며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국내 상반기 취업자 숫자는 2011년 49만9000명 △2012년 47만4000명 △2013년 21만4000명 △2014년 67만5000명 △2015년 29만1000명 △2016년 20만7000명 △2017년 36만명 △2018년 14만2000명 △2019년 20만7000명 등 전년 대비 매년 상승해왔다.

올해의 경우 코로나19 여파로 취업자 숫자가 줄고 임시 일용직 등이 줄어든 탓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올 1월과 2월 취업자는 전년동월과 비교해 각각 56만8000명, 49만2000명이 증가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된 3월부터 취업자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3월 취업자는 전년동월 대비 19만5000명 감소했고, 4월에는 47만6000명 급감했다. 이후 5월 39만2000명, 6월 35만2000명, 7월 27만7000명으로 감소폭은 다소 완화됐으나 고용충격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8월 들어 서울, 수도권 교회 등을 중심으로 코로나19 2차 확산 조짐이 보이자 고용시장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된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