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포스코, 세계 최초로 친환경 쾌삭강 양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포스코(회장 최정우·사진)가 세계 최초로 친환경 쾌삭강 양산을 본격화한다. 현재 정밀 부품 제작에 사용되는 쾌삭강은 납이 포함된 제품이 주로 판매되고 있지만, 포스코는 유해물질로 분류되는 납을 흑연으로 대체했다. 특히 국내에서는 쾌삭강을 생산하지 않아 연간 2만3000여 t(약 230억원)을 일본 등 해외에서 전량 수입해 왔지만 포스코 양산 본격화로 이를 대체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는 양산을 계기로 연간 100만t에 이르는 쾌삭강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해외 업체들과 경쟁할 계획이다.

포스코가 흑연 쾌삭강(포스그램·PosGRAM·GRAphitic steel for Machinability)의 양산 제품 개발에 성공해 판매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쾌삭강은 단면이 원형이며 가늘고 긴 철강재인 선재 제품의 하나로, 절삭면이 깨끗하고 빠르게 잘리는 강이다. 주로 복잡한 형상이나 치수 정밀도가 중요한 자동차, 전기·전자 및 사무 자동화 기기의 정밀 부품 제작에 사용된다.

이번 흑연 쾌삭강 개발은 친환경 소재인 흑연을 활용해 납쾌삭강 이상의 우수한 절삭성을 확보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열처리를 통해 구현한 균질한 조직은 어느 방향으로 절삭하든 균일한 절삭성을 나타내 가공 효율이 한층 더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흑연 쾌삭강은 주변 자기장에 쉽게 자석화되는 특성 덕분에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정밀제어 부품으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원통형으로 감은 전기 코일(솔레노이드)에 전기를 흘려 발생하는 전자기력으로 쇠막대(플런저·plunger)를 움직여 구동하는 밸브로 쾌삭강은 플런저의 소재로 사용된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존 쾌삭강은 절삭성 향상을 위해 납이 사용됐다. 그러나 납은 제품의 생산, 가공, 재활용 처리 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 입자로 공기 중에 퍼져나가 작업자에게 염증이나 신경계 손상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유럽연합(EU)의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제한지침인 'RoHS'와 EU의 폐자동차 처리 지침인 'ELV'에서는 제품 내 납 함유량을 최대 0.1%로 규정하고 있는데, 대체 소재가 없는 납쾌삭강만은 별도 예외 규정을 두고 최대 0.35%까지 허용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납이 함유된 부품 사용을 금지하는 추세가 확대되고 있어 앞으로 납 사용을 규제하는 지침 역시 강화될 것으로 보여 포스코의 흑연 쾌삭강 판매 확대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쾌삭강 시장은 세계적으로 연간 100만t 규모로 추정되는데 이 중 납을 함유한 제품 비율이 절반을 넘는다.

포스코는 2017년 흑연 입자의 분포·제어 기술 개발을 시작으로 쾌삭강 개발에 착수했다. 지난해 생산라인에서 양산 제조기준을 정립하며 개발을 완료했다. 이어 올해 초에는 제품을 시장 내에 조기 정착시키기 위해 연구·판매·생산을 아우르는 전사 차원의 태스크포스를 구성했고, 지난 6월 고객들로부터 품질 검증 절차를 밟은 후 판매를 시작하게 됐다. 포스코는 포스그램 판매를 확대하기 위해 고객사별 설비 특성에 맞춰 절삭 조건과 공구 선택에 대한 솔루션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내외 자동차사와 가전사 등을 대상으로 부품 인증도 추진 중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이 미래 모빌리티 전략에 따라 친환경차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친환경 부품소재 활용 연구개발도 확대되고 있고, 일부 가전사들은 납쾌삭강 사용 중지 계획도 가지고 있다"며 "쾌삭강에 대해 절삭성과 생산성에 대한 개선 니즈뿐 아니라 친환경성에 대한 시장의 니즈가 높아지고 있어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친환경 제품 양산체제를 구축해 새로운 시장에 지속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흑연 쾌삭강 개발에 앞서 지난해 9월에는 탈황설비(SOx Scrubber)에 필수적인 고합금 스테인리스강 양산체제를 갖추기도 했다.

[서동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