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정세균 국무총리 2020.8.4/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차세대 이통통신 기술인 6G(6세대) 세계 첫 상용화와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내년부터 5년간 2000억원을 들여 핵심기술 연구개발(R&D)에 착수한다. 이르면 2028년 세계 첫 6G 상용화와 핵심표준특허·스마트폰 점유율 세계 1위, 장비시장 세계 2위를 달성한다는 게 목표다.
정부는 6일 오전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와 세종청사를 연결하는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확정했다. 이날 회의에는 정 총리와 함께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관계 부처 장관들이 영상회의로 참석했다.
6G 선점 전략 마련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가속화하는 비대면·디지털화에 적극 대응하고 미래 네트워크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지난해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5G에 이어 6G 분야에서도 시장을 선도해 미래 신산업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6G는 5G에 이은 차세대 통신 인프라로 4G(LTE)에 비해 이론상 전송 속도가 20배 높은 5G(20Gbps)보다 무려 50배 이상 빠른 1Tbps급 속도를 낸다. 무선과 유선 등 종단간 지연시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무선 지연시간은 5G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6G가 보편화하면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등을 결합한 '초실감 확장 현실'(XR) 시대가 열린다. 지상 10km까지도 통신 서비스가 가능해 드론 택시, 플라잉카 서비스가 가능하다. 의료용 로봇의 원격수술과 완전 자율주행도 현실이 된다. 정부와 업계에선 6G의 상용화가 2028~2030년쯤 가능할 것으로 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는 지난 4월 6G 기술개발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됨에 따라 2021~2025년 6G 연구개발(R&D)에 2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후 2026~2028년 상용화 이전(Pre-6G) 기술을 기반으로 실감콘텐츠, 스마트공장, 자율주행, 디지털헬스케어 등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이르면 2028년 세계 최초로 6G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5G 초기화 단계에서 정부가 6G 전략을 마련한 것은 미래 네트워크 선점을 위한 글로벌 경쟁이 이미 시작됐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경쟁국들이 국가 주도의 R&D에 착수한 상태다. 미국은 2017년 5월 6G 연구기관을 설립하고 3000억원의 R&D 예산을 투입했다. 중국도 지난해 11월 정부 주도의 6G R&D 전담기구를 출범시켰다.
이날 회의에선 6G 선도를 위해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선점 △고부가가치 특허 확보 △연구·산업 기반 조성 등 3개 전략과 8개 추진과제도 확정됐다. 2025년까지 6G 핵심부품과 장비 국산화 기반 확보를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작품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밖에 중소기업 R&D를 적극 지원하고 최고급 6G 인재 양성에도 나선다. 내년부터 시작되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국제 표준화 과정에도 적극 참여해 국제표준화를 선도하고 표준특허를 확보할 계획이다.
정부는 산학연의 연구 역량 결집을 위해 민관이 참여하는 '6G R&D 전략위원회'와 6G 핵심기술개발 사업단'도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는 지난달 '6G 백서'를 공개하고 6G의 2030년 상용화 구상을 밝히기도 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6G 표핵심표준특허 보유와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6G 장비 점유율 2위 달성이 목표"라며 "5G에서 부족했던 소부장 분야를 육성해 네트워크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상헌 기자 bborira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