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3주 연속 하락 속 이재명 20% 육박
이낙연 vs 이재명 격차 6%p로 줄어
윤석열 13.8%, 야권 VS 여권도 10%P 안팎으로 좁혀
차기 대통령 선거 후보자 지형이 술렁이고 있다. 부동의 1위를 달리던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선호도가 3개월 연속 하락하는 가운데 대법원 무죄 취지 판결을 받은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선호도가 무섭게 오르고 있다. 두 사람의 선호도 격차는 4월 25.8%포인트에서 지난달 6%포인트까지 줄어들었다. 뒤늦게 대권 후보로 주목받고 있는 윤석열 검찰총장 역시 10% 중반대까지 선호도가 뛰어오르며 범야권 주자 중 압도적 1위를 굳히는 모습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오마이뉴스 의뢰로 지난달 27일~31일 전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낙연 의원(전 총리)가 25.6%로 1위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2위는 19.6%를 기록한 이재명 경기도지사, 3위는 윤석열(13.8%) 검찰총장이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점은 차기 유력 주자들의 선호도 변화다. 이낙연 의원은 지난 4월 40.2%를 기록한 뒤 3개월 연속 뒷걸음질쳐 이달 지지율이 20%대 중반까지 내려갔다. 반면 이재명 지사는 지지율이 6월보다 4%포인트 뛴 19.6%를 기록해 20%대를 돌파할 기세다.
이낙연 의원은 강원(-15.5%포인트)과 서울(-8.6%포인트), 대전·충청·세종(-5.9%) , 부산·울산·경남(-5.5%포인트)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선호도가 하락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8.2%포인트)와 70대 이상(-6.9%포인트), 이념별로는 중도층(-9.1%포인트)과 진보층(-3.7%)에서 선호도가 이탈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재명 지사는 반면 강원(9.9%포인트)과 대전·충청·세종(8.2%포인트), 서울(4.7%포인트), 경기·인천(2.7%) 등에서 선호도가 올랐다. 연령별로는 50대(6.2%포인트)와 18~29세(5.2%)가, 이념성향을 보면 진보층(7%포인트)과 중도층(2.9%포인트)이 선호도 상승을 이끌었다.
윤석열 검찰총장은 6월 10.1%에서 이달 13.8%로 지지율이 상승하며 범야권 가운데 유일하게 10%대를 기록했다. 윤 총장은 강원(7.2%포인트)과 서울(7.1%포인트), 경기·인천(4.45%포인트), 50대(6.9%포인트)와 70세 이상(5.8%)포인트, 40대(3.1%포인트)에서 선호도가 올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홍준표 의원은 지지율이 0.5%포인트 뛴 5.8%,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1%포인트 상승한 4.9%를 기록했다. 반면 오세훈 전 서울시장(4.3%)과 유승민 전 의원(2.5%), 원희룡 제주도지사(2.3%)는 선호도가 0.1~0.4%포인트 사이에서 오르내리며 횡보했다.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는 선호도가 전달보다 0.8%포인트 내린 4%를 보였고 이번에 조사에 추가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2.1%를 나타냈다.
이번 조사에서 범진보·여권 대선 주자군(이낙연·이재명·추미애·김부겸·임종석·심상정·김경수)의 선호도 합계는 6월보다 2.4%포인트 내린 53.9%를 기록했다. 범보수·야권 주자군(윤석열·홍준표·안철수·오세훈·황교안·유승민·원희룡)의 선호도 합계는 4%포인트 오른 37.6%로 양 진영 간의 격차는 직전 조사(22.7%포인트)보다 줄어든 16.3%포인트를 보였다.
이번 지난 7월 27일~31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성인 남녀 5만 5,381명을 접촉해 최종 2,560명이 응답(4.6%)을 완료한 결과를 분석했다. 무선(10%)·전화 면접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를 병행해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합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20년 4월 말 행정안전부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연령·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서 ±1.9%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