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물가와 GDP

7월 소비자 물가 0.3%↑…3달 만에 상승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4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채소류 등 물가 상승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0.3% 상승했다.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채소류 16.3% 급등하며 물가 올랐으나 '저물가' 기조는 지속

[더팩트ㅣ이한림 기자] 7월 소비자 물가가 3개월 만에 상승세를 기록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집에서 밥을 먹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채소류 물가가 크게 상승하는 등 농·축·수산물 가격이 크게 오른게 주된 원인이다. 다만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국제유가 하락 및 외식 물가 상승폭 둔화 등 영향으로 4월 이후 0%대의 '저물가'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4월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6으로 지난해 7월보다 0.3% 상승했다. 이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코로나19 여파가 시작된 4월부터 0%대로 떨어졌고 5월에는 마이너스(-0.3%), 6월에는 0.0%를 기록하는 등 저물가 현상을 지속히고 있다. 지난해에는 연속 1%를 밑돌다가 올해 1분기(1월~3월) 1%대로 올라서기도 했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6.4% 상승해 눈길을 끈다. 장마에 따른 출하량 감소와 지난해 작황 호조로 가격이 낮았던 기저효과 등이 반영됐다. 또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집에서 밥을 해먹는 수요가 늘어난 것도 원인이다. 이 결과 농산물 4.9%, 축산물 9.5%, 수산물 5.2% 각각 상승했다.

반면 공업 제품은 0.4% 하락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국제 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가격이 10.2% 내려가면서 전체 물가를 크게 끌어내렸다. 국제 유가의 경우 4월에 저점을 찍고 상승 전환하고 있으나 석유류 가격은 여전히 전년 동월 대비 낮은 수준이다.

전기·수도·가스도 같은 기간 4.5% 떨어지면서 공업 제품 물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석유류 가격과 연동되는 도시가스 가격이 함께 하락한 탓이다.

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0.2% 올랐다. 고교 및 유치원 납입금 무상화 등 정책적인 영향으로 공공서비스에서 1.9% 하락했고,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외출 자제로 외식 물가 상승률도 0.6%에 그쳤다.

또한 집세는 1년 전보다 0.2%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7월 전세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0.3% 상승해 2019년 5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더팩트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0년 7월 소비자물가를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집계된 근원물가 상승률은 모두 0%대를 기록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0.7%,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같은 기간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폭 완화와 집세 상승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만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7월보다 8.4% 상승하면서 2018년 11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반면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조사한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와 보합을 기록했다. 채소류 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도시가스 가격 인하가 이를 상쇄했다는 설명이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코로나19 이후 4월 저점을 기록한 뒤 여전히 낮은 수준인 국제유가,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외식물가 상승폭 둔화, 고교·유치원 납입금 등 무상 교육 정책 등 영향에 따라 저물가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2kuns@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