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종합] 7월 물가 0.3% 올라…코로나·저유가에 저물가 상황은 지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3%를 기록하며 3개월 만에 상승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국제유가 하락 및 외식 물가 상승폭 둔화 등의 영향으로 4월 이후 0%대의 저물가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4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6(2015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3%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3월에는 1%대로 올라섰지만, 코로나19 여파가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4월에 다시 0%대 초반으로 떨어졌고 5월엔 마이너스(-0.3%), 6월에는 보합(0.0%)을 나타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가격이 6.4% 올랐다.

장마에 따른 출하 감소와 지난해 작황 호조로 가격이 낮았던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채소류가 16.3% 상승하며 농산물 가격이 4.9% 상승했다. 또, 축산물은 9.5%, 수산물은 5.2% 각각 올랐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집밥'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공업 제품은 0.4% 하락했다. 특히 국제 유가 하락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10.2% 내렸다. 전기·수도·가스도 4.5% 떨어졌다.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7월에 석유류 가격과 연동되는 도시가스 가격이 함께 내린 영향이다.

지난달 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0.2%에 그쳤다.

구체적으로 공공서비스가 1.9% 하락했지만, 서비스 물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외식 물가가 0.6% 상승했다.

집세는 1년 전보다 0.2% 상승했다. 특히 7월 전세 가격은 1년 전보다 0.3% 상승해 2019년 5월(0.3%)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8.4% 상승했다. 2018년 11월(10.5%)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특히 신선채소가 16.5% 올랐다.

반면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변동이 없었다. 채소류 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도시가스 가격 인하가 이를 상쇄했다.

[방영덕 기자 byd@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