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 등에 따르면 올 연말까지 5·18 당시 옛 전남도청에 남겨진 총탄 흔적을 심층 조사한다.
용역을 맡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등은 옛 도청 본관·별관·회의실, 전남경찰청(전남도경찰국) 본관·민원실·상무관 등 6개관 내·외부에 대한 벽면 철근 계측도·외관 흔적도 등을 3차원 지도로 제작, 탄흔을 찾는다.
분석 과정에 ‘도청 본관 후면’과 ‘전남도경찰국 후면’에서 탄흔이 나올 경우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헬기 사격에 따른 탄흔 여부를 심층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시민군의 관련 증언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5·18 때 시민군이었던 김모씨는 1980년 5월 27일 오전 3시40분에서 4시 사이 도청 후문 쪽에서 고교 친구인 서모씨와 보초를 서던 중 서씨가 군의 헬기 사격으로 숨지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증언한 바 있다.
김씨는 “(당시 군이) 헬기에서 로프를 타고 (도경찰국 지붕 쪽으로) 360도로 돌며 내려오면서 무차별 사격을 했다. 헬기에서도 총을 쐈다”고 진술했다.
이같은 증언으로 미뤄 도청 본관·도경 후문 쪽에서 탄흔이 발견되면, 5·18진상조사위가 탄흔 생산 시기·구경, 발사각, 계엄군의 진압 작전 당시 상황 등을 두루 조사해 헬기 사격 여부를 규명할 것으로 보인다.
1980년 5월 27일 전투교육사령부 상황일지에도 ‘3(공수)여단 무장 Hel(헬)기 지원 요청’라는 기록이 남아 있고, ‘항공 연락장교 지원’이라고 적혀 있어 실제 헬기가 투입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5·18진상조사위 관계자는 “도청 본관·도경 후문에서 1980년 5월 쏜 탄흔이 발견될 경우 헬기사격 여부를 면밀히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은 최근 원형 복원을 위한 예비 조사 과정에서 탄흔으로 추정되는 구멍 8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곳은 1980년 5월 항쟁 당시 시민군이 상황실로 사용하던 서무과 출입문 위쪽 벽면으로 현재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 엘리베이터 기계실로 리모델링된 상태다.
앞서 옛 전남도청과 이웃한 전일빌딩 10층에서 발견된 수백개의 탄흔 대부분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헬기에서 쏜 것이라고 감정했고, 그동안 국방부 헬기사격 특조위 등 국가기관 조사에서도 헬기 사격은 사실로 드러났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