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맥주 수입 10년 만에 감소…위스키 수입도 줄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맥주 수입이 10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또 위스키 수입 역시 최근 3년 동안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관세청의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맥주 수입 중량은 2009년 4만1천t에서 2018년 38만7천t으로 9.3배 증가했습니다.

특히 최근 맥주 수입 중량과 증가율을 보면 2016년 22만t(29.0% 증가), 2017년 33만1천t(50.2% 증가), 2018년 38만7천t(17.1% 증가)으로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작년 맥주 수입은 36만t으로 전년보다 2만7천t(7.2%) 줄었습니다.

맥주 수입이 줄어든 것은 지난 2009년 이후 10년 만입니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반일 감정으로 일본 맥주 소비가 급감하면서 전체적인 맥주 수입량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위스키 수입 역시 줄고 있습니다.

최근 위스키 수입 현황을 보면 2016년에는 2만1천t으로 전년보다 2.4% 증가했지만, 2017년 2만200t(3.5% 감소), 2018년 1만9천900t(1.6% 감소), 2019년 1만9천800t(0.7% 감소)으로 매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주류업계는 지난 2016년 9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일명 김영란법)이 시행되면서 위스키 판매가 타격을 입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지난 2018년부터 주 52시간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저녁 회식 문화가 사라졌고, 최근에는 알코올 도수가 높은 고도주를 기피하는 현상도 심해지면서 위스키 수입이 줄고 있다고 식품업계는 설명했습니다.
유영규 기자(ykyou@sbs.co.kr)

▶ 더 깊은 인물 이야기 '그, 사람'
▶ SBS 뉴스, 네이버에서 편하게 받아보세요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