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부동산 정책 올인에도
진, 전날 100분 토론에서
“안 떨어져” 발언해 논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국회 개원연설에서 강력한 부동산 정책 의지를 보였는데도 불구하고 여당 진성준 의원이 TV 토론회에서 “그래 봤자 집 값 안 떨어진다”고 말해 파문이 일고 있다. 진 의원은 “왜곡보도”라며 해명에 나섰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7일 “저의 발언은 정부의 대책이 소용없다는 취지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진 의원은 전날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집값 과연 이번에 잡힐까’라는 주제로 토론을 했다. 토론이 끝난 뒤 패널로 출연한 김현아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이 먼저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 게 국가 경제에 너무 부담되기 때문에 그렇게 막 떨어뜨릴 수 없다”고 했다. 진 의원은 이 말에 “그렇게 해도 (집값은)안 떨어질 거다”라고 말했다. 그러자 김 비대위원은 “아니, 여당 국토위 위원이 그렇게 얘기하시면 국민들은 어떻게 하느냐”고 지적했다.
두 사람의 대화는 토론이 끝난 뒤 자리를 정리하면서 마이크가 켜진 것을 인지하지 못한 채 이뤄졌다. 하지만 유튜브 생방송 라이브 방송에 그대로 송출되며 진 의원에 대한 비판이 쇄도하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진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김 비대위원과 저의 대화 내용이 토론의 맥락과 무관하게 왜곡 보도되고 있어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의 발언은 ”집 값 떨어지는 것이 더 문제다“고 주장하면서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의 발목을 잡으려는 ‘집값 하락론자’들의 인식과 주장에 대한 반박”이라고 강조했다.
진 의원은 “제 발언의 진의는 ‘집값 하락’ 이라는 과장된 우려로 부동산 투기에 대한 규제를 막으려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고, 토론에서도 정부의 7.10 부동산 대책을 계기로 ‘1가구 1주택’의 원칙을 확립해 나갈 것을 일관되게 주장했다”고 말했다.
또 “실제로 현행 부동산 대책에는 투기자본이 조세부담을 회피해 빠져나갈 정책적 ‘구멍’이 아직 남아 있으며, 앞으로 이 구멍을 더 촘촘하게 메워가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했다.
진 의원은 “이러한 발언의 맥락을 무시하고, 저의 진의를 확인하지도 않고 왜곡하여 보도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도 “‘집값은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는 냉철한 인식과 비상한 각오로 부동산 투기 억제와 실수요자 중심의 ‘1가구 1 주택’ 원칙 확립을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했다.
/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진성준 의원 입장 전문
어제 MBC ‘100분 토론’을 마친 후 미래통합당 김현아 비대위원과 저의 대화 내용이 토론의 맥락과 무관하게 왜곡 보도되고 있어 강력한 유감을 표합니다.
언론에서도 저의 진의를 충분히 반영해서 보도해 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김현아 비대위원은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 게 국가 경제에 너무 부담되기 때문에 그렇게 막 할 수가 없어요”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저는 “그렇게 해도 안 떨어질 거다”고 답했습니다.
저의 발언은 정부의 대책이 소용없다는 취지가 아닙니다.
저의 발언은 “집값 떨어지는 것이 더 문제다”고 주장하면서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의 발목을 잡으려는 ‘집값 하락론자’들의 인식과 주장에 대한 반박입니다.
제 발언의 진의는 ‘집값 하락’이라는 과장된 우려로 부동산 투기에 대한 규제를 막으려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고, 토론에서도 정부의 7.10 부동산 대책을 계기로 ‘1가구 1주택’의 원칙을 확립해 나갈 것을 일관되게 주장했습니다.
실제로 현행 부동산 대책에는 투기자본이 조세 부담을 회피해 빠져나갈 정책적 ‘구멍’이 아직 남아 있으며, 앞으로 이 구멍을 더 촘촘하게 메워가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물론 토론 과정에서도 이러한 생각을 개진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의 맥락을 무시하고, 저의 진의를 확인하지도 않고 왜곡하여 보도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합니다.
‘집값은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는 냉철한 인식과 비상한 각오로 부동산 투기 억제와 실수요자 중심의 ‘1가구 1주택’ 원칙 확립을 위해 더 노력하겠습니다.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