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지방도로에도 자율주행 위한 '지능형 교통시스템' 적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난 1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열린 디지털 뉴딜 성공을 위한 민관합동 연석회의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전국 국도와 4차로 이상 지방 간선도로에도 자율주행 차량 주행을 위한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을 적용하기로 했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국민의 안전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도로ㆍ철도ㆍ공항 등 기반시설에 인공지능(AI) 및 디지털기술 기반의 디지털 관리 체계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선 도로의 경우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의 원활한 주행과 안전한 도로환경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국도와 4차로 이상 지방 주요간선도에 C-ITS 도입을 추진한다. C-ITS는 주행 중 운전자에게 주변 교통 상황과 급정거, 낙하물 등 사고 위험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정부는 2025년까지 전국 고속도로에 도입 예정인 C-ITS를 모든 국도와 지방 주요간선도로까지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정부는 또 모든 철로에 전기설비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해 실시간 상태를 진단하고 다자간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4세대 철도무선망도 만든다. 또한 열차에 ‘선로 안전점검 무인검측시스템’을 설치해 철도시설 유지관리 체계를 높이기로 했다.

전국 15개 공항에는 항공기 탑승권, 신분증, 지문, 얼굴정보 등을 통합한 비대면 생체인식시스템을 2022년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급경사지 등 재해위험지구의 위험징후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IoT 기반 조기경보시스템을 2022년까지 510곳에 설치하고 둔치주차장 침수위험을 차주에게 신속히 알리는 시스템도 확대한다.

정부는 현실과 같은 가상세계인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축해 신산업을 지원하고 국토의 안전관리도 강화할 계획이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과 동일한 가상세계, 즉 ‘디지털쌍둥이’를 만들어 실시간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지는 개념으로 단순히 겉모습만 구현한 3D모델링과 달리 실시간으로 쌍방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도심지 등 주요 지역의 지형을 3차원으로 만들고, 12㎝급 고해상도 영상지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또 상ㆍ하수도, 공동구 등 지하공간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하공간 3차원 통합지도를 마련하고 전체 322㎞ 가운데 노후 지하공동구(120㎞)에 계측기 설치 등 지능형 관리시스템도 만들 계획이다.

디지털 트윈을 활용해 정밀도로지도도 만든다. 자율주행차를 위한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를 국도와 4차로 이상 지방도까지 확대 구축할 예정이다.

김기중 기자 k2j@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