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남중국해 맴도는 美핵항모…中 "군사도발 중단하라" 강력 경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콩보안법 통과후 미·중 , 남중국해 군사훈련

中 국방부 “연례 훈련에 美 군사적 긴장 조성"

전문가 “美, 중국의 마지노선 시험” 평가

중앙일보

런궈창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9일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군사도발 행위를 자성하라"며 비판했다. [중국 국방부 홈페이지 캡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중국해를 둘러싼 미ㆍ중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국방부는 9일 밤 “미군은 남중국해 군사 도발 행위를 자성하라”며 정면 비판하고 나섰다.

국방부는 9일 밤 홈페이지에 올린 런궈창(任国强) 대변인의 기자회견문을 통해 “현재 남중국해는 중국과 아세안 국가의 공동 노력으로 안정되고 있는데 미국은 함대를 대거 내보내 역내 안보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며 “이는 남중국해의 군사적 긴장을 조성하고 지역 갈등을 부추겨 어부지리를 얻으려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런 대변인은 “중국은 이에 강력한 불만을 제기하고 결연한 반대 입장을 표한다”며 “스스로 자성해 군사 도발 행위를 중단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국방부가 공식적으로 군사 도발 행위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미군의 군사훈련을 비난한 것이다.

중앙일보

7월 1~5일 중국 해군이 남중국해에서 실시한 군사훈련 장면. [둬웨이 캡쳐]



사실 훈련은 중국군이 먼저 시작했다. 인민해방군은 지난 1~5일 하이난(海南) 섬에서 남쪽으로 330km 떨어진 시사군도(西沙群島)에서 해상 군사 훈련을 했다.

이어 4~8일 미 해군이 운용하는 핵 추진 항공모함인 니미츠 항모(USS Nimitz)와 레이건 항모전단이 인근 해역에서 연합 훈련을 벌였다. 미 해군 항공모함 두 척이 동시에 남중국해에 출현한 건 2014년 이후 처음이었다.

미 해군은 ‘항행의 자유’ 훈련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7~8일엔 일본 해상 자위대가 레이건함과 합동 훈련을 벌이기도 했다.

이와 관련, 런 대변인은 미국의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그는 “최근 중국군은 시사군도의 해상 군사훈련 실시를 지난달 27일 사전에 발표했다”며 “이는 연례 훈련이며 특정 국가나 목표를 겨냥하지 않은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가 지난 2일 이를 중국이 남중국해 정세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한 것은 흑백을 바꿔 사실을 호도한 것”이라고 반발했다. 오히려 자국 훈련에 이어 미군이 2척의 항공모함을 동원해 군사적 위협을 가했다는 것이다.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인민해방군이 항모 킬러로 불리는 둥펑-21D와 둥펑-26과 같은 대함탄도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는 보도를 내며 미국에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중앙일보

지난 6일 미 해군의 핵추진 항공모함인 레이건함과 니미츠함이 2014년 이후 처음으로 남중국해에서 연합 훈련을 했다. [미 해군 트위터 캡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에 따르면 미 니미츠 항공모함은 여전히 남중국해에 순항하고 있다. 미 해군은 중국 측 주장에 대해 “미 해군은 남중국해의 국제 해역에서 운항하고 있으며 위협받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미ㆍ중간 군사적 대치 상황은 홍콩 보안법이 통과된 7월 1일 이후 지속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지난 8일엔 대만과 필리핀 사이 바시(巴士) 해협으로 미군 EP-3E 정찰기 1대가 비행했다. 정찰기는 대만 남부와 홍콩과 인접한 광둥성 쪽을 근접 정찰했으며 당시 중국 영해기선과 불과 95km 떨어진 해역까지 접근하기도 했다. 6일 RC-135 정찰기, 7일 EP-3E 정찰기에 이어 사흘 연속 정찰 비행이 계속됐다.

마카오 국제군사학회 황둥(黃東) 회장은 현 상황에 대해 “대만 해협 정세와 홍콩 보안법 실시에 대응하는 일종의 경고”라며 “중국의 마지노선을 시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베이징=박성훈 특파원 park.seongh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