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세계 속의 북한

북한에도 배송한 美 아마존… 대북제재 위반 벌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바·이란·시리아 등 제재 국가와 거래로 미국 정부에 1억6000만원 납부

세계일보

아마존 로고. AFP연합뉴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북한에도 물건을 배송하는 등 제재를 위반해 미국 정부가 제동을 걸고 나섰다.

8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따르면 아마존은 북한을 비롯해 쿠바, 이란, 시리아, 크림공화국 등 제재 국가와 거래한 사실을 인정하고 미국 재무부에 13만4523달러(약 1억6000만원)를 벌금으로 납부키로 했다.

아마존은 북한과 쿠바, 이란에 거주하거나 해당 국가의 해외 주재원들에게 상품을 판매한 뒤 미국 정부에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부의 제재 위반에 해당하는 거래 건수는 수백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뉴스는 아마존에 대한 벌금이 10억달러(약 1조1955억원)에 달할 수 있었다고 보도했다.

재무부 관계자는 제재를 위반한 아마존의 벌금이 비교적 적은 이유에 대해 “제재 위반 수준이 심하지 않고, 아마존이 스스로 위반 사실을 밝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북한 등 제재 대상 국가에서 아마존에 상품을 주문하는 것이 가능했던 것은 아마존 주문시스템의 문제점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예를 들어 크림공화국(Crimea)의 경우 ‘C’ 대신 ‘K’로 주소를 입력하면 아마존이 제재 대상 국가로 인식하지 못하는 등 허점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아마존은 거래시스템을 수정해 제재 대상 국가들로부터의 상품 주문을 자동으로 분류해 차단할 방침이다.

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