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홍콩보안법 홍콩관광에 어떤 영향?…"중국인 유입은 늘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영국·캐나다 등 서방국은 자국민에게 홍콩여행 주의령

CNN "중국 본토인들은 오히려 안심할 것"

연합뉴스

주권 반환 23주년 기념 행진하는 홍콩 시위대
(홍콩 로이터=연합뉴스) 홍콩보안법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지난 1일 홍콩 주권 반환 23주년에 즈음해 시가행진에 나서고 있다. jsmoon@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여파로 홍콩 관광업계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중국 본토인들의 유입은 오히려 늘 것이라고 미 CNN방송이 8일(현지시간) 전망했다.

지난 1일 시행된 홍콩보안법은 외국 세력과 결탁, 국가 분열, 국가정권 전복, 테러리즘 행위 등을 금지·처벌하고, 홍콩 내에 이를 집행할 기관을 설치하는 내용을 담았다.

특히 홍콩보안법 34조는 홍콩 내 외국인이 법을 어기면 추방할 수 있도록 했고, 38조는 홍콩 밖 외국인이 저지른 법 위반 행위도 처벌할 수 있도록 했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의 홍콩 조사 담당자인 허버트 윰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시위 사태에 홍콩보안법까지 겹쳐 향후 관광업 회복 전망이 불투명하게 됐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미국, 호주 등 서방국들은 지난 1일 홍콩보안법이 시행된 후 자국 여행객들에게 홍콩 방문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연합뉴스

'홍콩보안법' 홍보하는 정부 현수막
(홍콩 AP=연합뉴스) 지난달 29일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을 홍보하기 위해 홍콩 정부가 내건 대형 현수막 곁을 택시가 지나고 있다. sungok@yna.co.kr



미국 국무부는 최근 홍콩에 대한 여행 경보를 개정하며 관광객들에게 "(홍콩보안법에 따라) 더 강하게 감시받고, 당국이 임의로 법을 집행할 수 있으며, 법과 질서 외 다른 목적으로 구금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호주 정부 역시 "홍콩보안법을 토대로 호주인들이 감금될 위험이 커졌을 수 있다"며 자국민에게 홍콩 여행을 자제하라고 당부했다.

캐나다와 영국 정부도 비슷한 내용으로 자국 관광객들에게 주의를 줬다.

다만 홍콩 방문객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국 본토 관광객들은 오히려 홍콩보안법 시행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홍콩 민주화 시위가 격화한 지난해 여름부터 급감한 중국 본토 관광객들이 홍콩보안법에 따라 시위 사태가 사그라지면서 방문을 재개할 것이라는 해석이다.

2018년 홍콩을 방문한 중국 본토 관광객은 약 5천100만명으로, 그해 전체 관광객의 약 78%를 차지했다.

호주 제임스 쿡 대학의 관광업 전문가인 제임스 톨카치 박사는 "시위대가 대학을 점령한 지난해 11월에는 관광객 유입이 50%가량 감소했고, 중국 본토인 대상 시장의 타격이 가장 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 본토 관광객 입장에선 홍콩보안법이 홍콩의 안전을 보장해주니까 안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youngle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