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호주 "홍콩인들 호주서 새 삶 시작 돕겠다"(종합)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콩보안법 반발해 홍콩과 '관계 재설정'

홍콩 대학생·취업자 체류연장 등 검토

중국 "내정간섭…제발등 찍지 말라" 경고

연합뉴스

홍콩과의 범죄인 인도 협정을 중단하고 홍콩인의 체류기간을 연장하는 등 홍콩보안법 대응책을 발표하는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A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권혜진 기자 = 호주와 뉴질랜드가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에 반발해 홍콩과의 관계 재설정에 착수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홍콩인들이 홍콩보안법의 위험을 피해 호주에 살도록 한다며 9일 일련의 대책을 발표했다.

이들 계획에는 홍콩 주민들의 호주 체류 기간을 연장하고 홍콩과의 범죄인인도 협정을 중단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모리슨 총리는 이달 초 시행된 홍콩보안법 때문에 여건에 근본적인 변화가 생겼다고 밝혔다.

홍콩보안법은 외국세력과의 결탁, 국가 분열, 정권 전복, 테러 등에 연루된 이들을 처벌하는 법률로, 피의자는 중국 본토로 인도돼 중국 공산당이 지배하는 법원에서 재판을 받을 수도 있다.

모리슨 총리는 "홍콩 주민 중에 다른 곳에서 새 삶을 시작하는 방안, 기술이나 사업체를 갖고 가는 방안을 검토하는 이들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호주 정부의 비자 연장 계획이 시행되면 이미 호주에 머무는 홍콩 주민들이 혜택을 받게 된다.

연합뉴스


홍콩 학생들은 호주에서 대학을 졸업하면 5년을 거주할 기회를 얻고 그 뒤에는 영주권을 신청할 자격이 생긴다.

호주에서 임시로 일자리를 얻은 홍콩 주민들도 체류 기간을 5년 연장할 수 있고 나중에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다.

모리슨 총리는 현재 학생이나 임시 노동자 비자를 얻어 호주에 체류하는 이들이 1만명이라고 밝혔다.

호주 정부는 글로벌 금융기업, 컨설팅업체, 언론사들에 특혜를 주고 지역 본부를 홍콩에서 호주로 옮기도록 유도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호주 정부는 홍콩보안법의 애매한 법 조항 때문에 억류될 수 있다며 자국민들에게 홍콩 여행을 자제하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이에 중국 외교부는 내정 간섭이라며 즉각 반발했다.

호주 주재 중국 대사관은 성명을 내고 "중국 및 홍콩 내정에 대한 어떤 맥락의 간섭도 당장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그러지 않으면 바위를 들어 스스로의 발을 찧는 꼴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호주 정부의 발표 내용을 "근거 없는 비난과 조치"라고 몰아붙였다.

호주에 이어 뉴질랜드도 이날 홍콩과의 관계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며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대응조치에 동참했다.

뉴질랜드의 대책에는 홍콩과의 범죄인 인도협정 중단, 전략물자에 대한 수출규제, 여행경보 등이 포함됐다.

윈스턴 피터스 뉴질랜드 외교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중국의 홍콩보안법 통과 결정 때문에 홍콩 내 국제활동을 위한 환경이 바뀌었다"고 밝혔다.

jangj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