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아사히신문 “일본, 징용공 어두운 역사 직시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도쿄(東京)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설치된 ‘산업유산정보센터’에 소개된 일제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 모습. 도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아사히신문이 9일 자국 정부의 강제 징용 역사 왜곡 문제를 두고 “어두운 역사를 응시하라”고 일침을 놓았다.

진보 성향의 아사히신문은 이날 사설에서 최근 일본 정부의 군함도 역사 왜곡 전시 논란에 대해 “현 전시 내용은 약속한 취지를 실현하고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면서 “원칙을 스스로 왜곡하면 신뢰를 쌓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아사히신문은 “5년 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에 관한 전시를 놓고 일본과 한국 사이에 마찰이 일고 있다”며 태평양전쟁 당시의 “징용공에 관한 설명을 일본 측이 충분히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운을 뗐다.

일본 정부는 2015년 7월 한국에는 군함도로 알려진 나가사키현 하시마(端島)의 탄광 등 메이지 시대의 산업 유산 시설 23곳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조선인 강제 징용 문제를 제대로 설명하겠다고 약속했다. 신문은 당시 일본 정부가 “본인 의사에 반해 끌려가 혹독한 환경에서 일하게 된 한반도 출신자들이 있었다”면서 “희생자를 기억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표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지난달 15일 도쿄(東京) 신주쿠(新宿)에 있는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산업유산정보센터’라는 전시시설을 개관하면서 강제 징용은 없었다는 취지의 설명을 제시해 한국 정부가 반발했다. 전시관에 ‘조선인에 대한 차별은 없었다’고 말하는 주민의 영상을 전시한 것이다.

아사히신문은 이러한 점을 지적하며 “당시를 아는 사람들의 증언이 귀중한 가치를 지니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지만, 개개인의 체험 증언을 내세우는 것만으론 역사의 큰 그림을 파악할 수 없다”고 했다. 또 “한반도 출신자의 노무 동원에 폭력이 수반되거나 가혹한 노동을 강요한 것은 당시 일본 정부의 공문서 등에서 드러났고, 일본 내 재판에서도 피해 사실이 인정됐다”고 했다.

아사히신문은 “어느 나라나 걸어온 길에 빛과 그림자가 있고, 이웃 나라와의 관계도 복잡하기 마련”이라며 “명암을 불문하고 역사적 사실에 겸허하게 마주하며 미래를 생각하는 책임이 있는 것은 일본이나 한국이나 같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두웠던 부분을 외면한다면 산업화 유산의 빛은 쇠퇴할 것”이라고 거듭 일본 정부를 비판했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