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초유의 지각국회? 11일 넘기면 가장 늦은 개원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7일 미래통합당의 복귀로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이번 국회에서 여야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출범을 비롯해 일하는 국회법 등 쟁점법안을 놓고 또다시 충돌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의 단독 원 구성에 불만을 표하며 장외투쟁을 해왔던 미래통합당이 7일 국회 보이콧을 끝내고 원내에 복귀했지만, 21대 국회 개원식 협상은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개원식 일정 협의 불발로 21대 국회 개원식이 이번주를 넘기게 되면, 문재인 대통령의 개원연설은 1987년 이후 가장 늦은 연설이 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까진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8년 7월 11일 18대 국회 개원연설을 한 게 가장 늦은 기록이다.

정치권에선 여·야가 7월 임시국회 첫 본회의 날짜를 놓고 이견을 보여 일정 협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일정을 정해 21대 개원식을 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통합당은 개원식 없이 교섭단체 대표연설 등 국회 일정에 바로 돌입하자는 입장이다. 원내수석부대표 회동도 난항이다. 김영진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김성원 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5일 만난 뒤 아직 일정합의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8일 오전 10시30분에 예정된 통합당의 의총 결과에 따라 여·야 협상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한편 여·야는 앞으로 이인영 통일부장관 내정자, 박지원 국정원장 내정자 등의 인사청문회도 준비해야 하지만 아직 정보위 구성이 되지 않아 일정이 미뤄지고 있다. 정보위원은 국회법상 교섭단체 대표가 추천하도록 돼있다. 때문에 먼저 통합당 몫의 국회 부의장을 먼저 선출해야 한다.

고석현 기자 ko.sukhy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