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삼성, LG 이어 SK까지…총수들의 '배터리 회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삼성, LG, SK와 현대차 이렇게 4개 그룹 총수가 최근 잇따라 만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쟁을 위해 배터리 제조사와 자동차 회사의 협력이 절실하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노동규 기자입니다.

<기자>

'배터리 회동'의 시작은 지난 5월 현대차 정의선 수석부회장과 삼성 이재용 부회장의 만남이었습니다.

배터리 공급 관계도 없는 두 그룹의 회동에 이미 현대차에 가장 많은 배터리를 공급하는 LG의 구광모 회장도 한 달 뒤 정 부회장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오늘(7일) SK 최태원 회장과 정 부회장의 만남까지.

글로벌 전기차 4위 업체와 배터리 점유율 1, 4, 7위 업체가 번갈아 만나 미래 배터리 개발 상황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그 배경은 오는 2025년 2천213만 대까지 커질 것으로 보이는 전기차 시장의 잠재력.

전용 모델 23종을 개발해 세계 3위에 올라서겠다는 현대차는 배터리 업계로서는 놓칠 수 없는 고객입니다.

[이항구/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현대차는 국내 배터리 3사로부터 납품선을 다변화하면서 안정적인 공급선을 확보할 수가 있겠고, 또 배터리 3사는 현대차라는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윈-윈 게임'이 될 수 있습니다.]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결국 친환경 전기차로 갈 수밖에 없는 자동차 업계도 양질의 배터리 확보는 사활이 걸린 문제입니다.

테슬라와 파나소닉, 폭스바겐과 노스볼트처럼 완성차 업체와 배터리 회사 간 짝짓기는 이미 세계적인 추세입니다.

[이주완/포스코경영연구원 연구위원 : (완성차 업체들은) 충전 한 번에 4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는 배터리가 필요한 상황이고요. 그런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업체는 사실 대여섯 개로 좁혀질 수밖에 없거든요.]

산업부 등 일각에서는 업계 공동의 기술개발도 가능하다는 희망 섞인 예측이 나옵니다.

하지만 최근까지도 극심한 특허 분쟁을 벌인 LG와 SK가 민감한 기술을 공유하며 협력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영상편집 : 박기덕, CG : 김규연)
노동규 기자(laborstar@sbs.co.kr)

▶ "핏줄 터질만큼 맞았다"…체육계 폭력 파문
▶ [마부작침] 민식이법이 놓친 것들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