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사차이익 증가에
변액보증준비금 환입까지 반사이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4분기 실적 시즌을 앞두고 모처럼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들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동시에 높아지고 있다. 보험료 산출시 예상한 보험금 지급 규모 대비 실제 집행한 보험금이 적을 때 발생하는 사차이익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특히 제로금리로 역마진 부담이 컸던 생보사들은 ‘동학개미운동’으로 주식시장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1·4분기에 적립한 대규모 변액보증준비금이 환입되는 반사이익을 누리게 됐다.
6일 보험업계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올 2·4분기 5개 손보사(삼성화재(000810)·현대해상(001450)·DB손해보험(005830)·메리츠화재(000060)·한화손해보험(000370))와 4개 생보사(삼성·한화·동양·미래에셋생명(085620))의 순이익이 각각 전년 대비 37.9%, 51.3%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보사들 역시 병원 이용 감소에 따른 코로나19발 반사이익을 얻었다. 지난 4~6월 삼성생명(032830)과 한화생명(088350)의 위험손해율은 1·4분기 대비 각각 4%포인트, 8%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올 상반기에만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가 0.75%포인트 인하되면서 이차역마진 부담이 커진 생보사들에는 일회성 요인이기는 하지만 2·4분기 환입되는 변액보증준비금이 가뭄의 단비다. 변액보증준비금은 변액보험 등 변액자산의 순자산가치 변동에 따라 보증금액과 비교해 적립하는 것으로, 매분기 변액보험 펀드 수익률에 연동되는 적립금은 코스피 지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올 1·4분기에 적립 부담이 큰 폭으로 늘었다가 2·4분기 증시 회복에 힘입어 대규모 자금이 환입된 것도 이 때문이다. 삼성생명과 한화생명의 경우 환입금 규모가 1,000억~1,5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점쳐진다.
강승건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저금리 고착화로 이차역마진이 확대된데다 감독 당국의 보험료 통제로 사차마진 확대 추세가 이어질지 불확실하다”며 “IFRS17 등 시가 평가 제도 도입이 계속 연기되고 있지만 지급준비율(RBC) 제도 강화로 보험사들의 자본관리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수익성 개선은 지연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서은영기자 supia927@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