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日 수출규제 1년, 국내 진출 일본기업 영업익 `폭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본이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으로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를 강행한 지 1년 만에 한국에 진출한 일본 주요 기업의 매출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일본 수출 규제 전후 한국에 진출한 일본 소비재 기업 31곳의 경영성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이 작년 한국에서 올린 매출액은 전년 대비 평균 6.9% 줄었고 영업이익은 71.3%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식음료 업종의 경우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19.5% 줄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모두 적자 전환하는 등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아사히 맥주로 유명한 롯데아사히주류는 지난해 매출이 50.1%(624억원) 감소했고, 30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또 즉석 수프 '보노'로 알려진 한국아지노모의 매출은 전년 대비 34.2%, 영업이익은 70.6% 감소했다.

자동차·부품(-16.8%), 생활용품(-14.5%), 기타(-11.4%) 업종의 매출도 1년 전보다 10% 이상 쪼그라들었다.

혼다코리아의 작년 매출은 전년 대비 22.3%(1041억원) 줄었고 146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생활용품업종 중 '유니클로'의 에프알엘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31.3%(4439억원) 급감했고 2402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일본 의류브랜드 데상트코리아(-15.3%), 세탁세제 '비트'를 판매하는 라이온코리아(-12.9%), 생활용품 브랜드 '무지'를 운영하는 무인양품(-9.8%)도 매출이 일제히 축소됐다.

화장품업종 매출은 7.3%, 유통업종은 3.4% 각각 줄었다.

편의점 한국미니스톱의 매출은 3.1% 줄었다. 한국미니스톱은 일본 미니스톱이 96.06%, 전범기업으로 알려진 미쓰비시가 3.94%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지난해 국내에 진출한 일본 IT전기전자업종의 매출은 10.8% 늘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2.1%, 10% 증가했다.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26.6%), 파나소닉코리아(-18.8%), 니콘이미징코리아(-12%) 등은 매출이 부진했던 반면, 한국닌텐도(36.6%), 한국히타치(27%), 소니코리아(19.5%)은 매출이 증가했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