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김포시민 33% “‘안정된 일자리 확대, 저출산 해결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김포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인구영향 설문조사’. 사진제공=김포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포=파이낸셜뉴스 강근주 기자]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타계할 방안은 무엇일까. 김포시민 다수는 해결책을 ‘안정적 일자리 확대’에서 찾았다.

김포시가 올해 5월 20세 이상 김포시민 590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에서 진행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인구영향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37,5%가 저출산-고령사회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책을 ‘안정적 일자리 확대’라고 답했다.

또한 살기 좋은 김포를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한 응답도 일자리(기업 등) 유치에 대한 비율이 33.4%로 가장 높았다. 20~40대를 대상으로는 코로나19로 결혼, 임신에 대한 계획에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20대와 30대는 ‘현재는 어렵지만, 언젠가는 할 것이다’는 의견이 각각 46.0%, 37.6%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40대는 ‘원래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다’는 의견이 71.4%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파이낸셜뉴스

김포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인구영향 설문조사’. 사진제공=김포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응답을 한 20대(38%)의 57.9%는 ‘혼자(또는 아이 없이) 사는 것이 편하다고 생각되어서’라고 응답해 가치관 변화도 저출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줬다.

코로나19로 김포시 정주의식에 변화가 생겼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67.1%가 ‘기존에도 계속 살고 싶고, 지금도 계속 살고 싶다’고 응답했으며, ‘기존에는 살기 싫었지만, 지금은 계속 살고 싶다’가 12.4%로 뒤를 이어 79.5%가 김포시에 계속 살고 싶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파이낸셜뉴스

김포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인구영향 설문조사’. 사진제공=김포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확대되고 있는 비대면 시스템에 관한 의견에는 ‘대면일자리 감소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이 30.3%로 가장 많고, ‘사람 간의 소외감, 거리감 증대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이 23.7%로 뒤를 이어 부정적인 의견이 긍정적인 의견보다 많았다.

김포시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속가능하고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정책과 비대면 시스템 시대의 새로운 부작용에 대한 보완책 마련 등 중점과제를 발굴, 추진해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