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인권 대신 홍보로 위상 되찾겠다'는 홍콩, 수십억 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진경진 기자]

머니투데이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콩 정부가 영국 기반의 홍보(PR) 업체와 계약을 체결하고 홍콩의 대외적 이미지 회복에 나섰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홍콩 반정부 시위에 이어 홍콩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강행 등으로 글로벌 금융허브라는 국제·경제적 위상이 흔들리자 이미지 쇄신에 나선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를 철회하고 유럽 각국도 대응하는 조치에 나설 의향을 밝히면서 이 같은 홍보 전략이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30일(현지시간) 영국 유력 일간지 더 가디언에 따르면 글로벌 컨설팅 기관인 컨설럼(Consulum)은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가 홍콩보안법을 통과시킨 이날 홍콩 정부와 도시 이미지를 끌어올리기 위한 수백만파운드(수십억원) 규모의 계약에 합의했다. 런던 소재의 이 회사는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이미지 컨설팅을 맡기도 했다.

홍콩 정부는 지난해 말 반정부 시위가 고조되면서부터 PR 회사를 고용하기 위해 고군분투해왔다. 당시 홍콩 행정부는 업체 입찰 문서에서 "홍콩 행정부는 그동안 지역 사회가 법 집행을 지원하거나, 협박이나 폭력 행위 등을 비난하도록 하는 데 실패했다"며 "이로 인해 홍콩의 평판이 손상돼 홍보 기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홍콩의 경제 회복을 위해 홍콩을 효과적으로 알리고 인식을 바꾸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이 반정부 시위에 직접적인 개입을 하면서 전 세계의 비난을 받고 있던 만큼 대부분의 PR 업체들이 이를 거절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홍콩 정부는 올 초 정치적인 부분을 배제하고 '투자하고, 사업하고, 일하며 사는 곳'이란 이미지에 초점을 맞춰 입찰 문서를 다시 작성했다. 그럼에도 국제적인 PR 업체들은 윤리적 갈등과 다른 고객들의 우려 등을 이유로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컨설럼이 홍콩 정부와 계약을 체결하자 업계는 놀란 눈치다. 더욱이 이 회사가 영국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향후 논란이 제기될 수도 있다고 더 가디언은 전했다.

150년간 홍콩을 지배했던 영국은 1997년 홍콩을 중국에 반환하기 앞서 '공동선언'(1984년)을 통해 반환 후 50년 간 홍콩이 현행 체계를 유지하도록 '일국양제' 기본정신을 약속했다. 하지만 중국이 홍콩보안법 제정 강행 등 홍콩 자치에 대한 중국의 간섭을 본격화하자 영국 정부도 중국에 각을 세우고 있다.

이미 홍콩 인구 750만명 중 약 300만명에게 거주권을 부여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도미니크 라브 외무장관은 "지난해 범죄인 인도법(송환법)으로 촉발된 홍콩 내 불안은 홍콩 스스로 해법을 찾아야 하며 중국이 이를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컨설럼은 별도의 의견을 내놓지 않았다.

한편, '홍콩 홍보 및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연합'은 "최고의 위기 관리 전략은 사실과 책임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에 기반을 둔다"며 "그런데도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지 않고 PR회사를 고용하기로 한 홍콩 정부의 결정에 반대한다"고 비판했다.

진경진 기자 jkji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