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6월 수출 10.9% 감소…4개월 연속 ‘마이너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월 수출액이 전년 동월보다 10.9% 감소했다.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하루 평균 수출액은 18.5% 줄었다.



6월 수출, -23.6%→-10.9% 개선



중앙일보

월별 수출 증감률.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6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6월 수출액(392억1300만달러)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크게 내려앉았던 4월(-25.5%)과 5월(-23.6%)보다는 개선됐다. 그러나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이며 계속해서 코로나19 영향권에 머물렀다.

일평균 수출은 5월(-18.3%)보다 0.2%포인트 더 감소했다.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감소하면서 무역수지는 흑자를 나타냈다. 불황형 흑자다. 6월 수입액은 355억4700만달러로 전년 동월보다 11.4%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36억6600만달러 흑자로 4월(4억4600만달러)보다 개선됐다.



회복은 했지만…수출, 여전히 '코로나 늪'



중앙일보

주요 지역별 6월 수출 증감률. 그래픽=신재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월 수출이 다소 개선된 건 코로나19 확진자가 한시적으로 소강상태를 보이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품목 별로 보면 지난해 전체 수출액 3위를 차지한 자동차가 5월 -54.2%에서 6월에는 -33.2%로 감소 폭이 둔화했다. 차 부품은 -66.8%→-46%, 섬유는 -43.6%→-22.3%로 회복세를 보였다. 국제유가가 회복세를 보이며 석유화학 수출도 -33.9%→-11.8%로 감소 폭이 줄었다.

지역 별로는 대(對)중국 수출이 5월 -2.4%에서 6월 9.5% 플러스로 전환했다. 그러나 미국(-8.3%), EU(-17.0%), 아세안(-10.8%) 등은 여전히 부진했다.

수출은 2018년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14개월 연속 전년동월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다 올해 2월 플러스 전환하며 회복 조짐을 보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영향에 다시 내려 앉아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6월 수출이 회복 조짐을 보였지만, 향후 상황을 낙관하기만은 힘들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있고 경기 회복 시점도 여전히 불확실하다”며 “그러나 하반기 예상되는 주요국의 경제 재개ㆍ대규모 투자가 수출 반등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